[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현대제철은 8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현대하이스코 합병안을 결의했다. 내달 28일 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오는 7월1일 합병을 마무리한다.
업계에선 이번 합병을 두고 연매출 20조원 규모의 거대 철강사가 탄생했다는 것 외에 관심을 갖는 부분이 한 가지 더 있다. 바로 정의선 현대차그룹 부회장의 위상 변화다.
정 부회장은 현대제철 사내이사로 품질총괄을 담당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내 현대제철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정 부회장의 입지 역시 강화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정 부회장은 2012년 3월 현대제철 사내이사로 처음 선임된 뒤 철강부문 경영에 관여해왔다. 우유철 부회장과 강학서 사장, 송충식 부사장과 함께 사내이사를 맡고 있지만 정 부회장의 철강부문에 대한 장악력은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실제 현대제철은 지난해 초 현대하이스코의 자동차용 냉연강판 사업부문을 합병한 데 이어 이번에는 해외 스틸서비스센터(SSC)와 강관, 자동차경량화 사업 부문까지 합병, 종합철강사로서의 면모를 갖췄다.
현재 현대제철 최대주주는 기아차(19.57%)다. 정몽구 회장과 현대차는 각 11.81%와 11.18%를 갖고 있으며 정 부회장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다만 기아차는 현대차가 최대주주이고, 현대차 2대주주 정 회장을 비롯한 정 부회장 등 오너 일가가 우호지분을 형성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는 '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현대제철→현대모비스' 순환출자구조다. 정 부회장은 최대주주(23.29%)인 현대글로비스 등 8개 계열사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앞서 정 회장과 정 부회장은 지난 2월 현대글로비스 지분 43.49% 중 13.39%를 블록딜 형식으로 매각해 1조1576억원 규모의 현금을 확보한 바 있다.
당시 업계에선 표면적으로는 일감 몰아주기 규제를 강화한 공정거래법 개정 취지에 부응하기 위한 조치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정 부회장이 순환고리의 정점에 있는 현대모비스의 지분 확보를 위해 거액의 현금을 만든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현재 현대모비스의 지분구조는 기아차 16.88%, 정 회장 6.96%, 현대제철 5.66%, 현대글로비스 0.67%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