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정치

심재철 “안양 교도소 이전해야 한다는 응답, 70%로 압도적”

URL복사

안양교도소 이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창조경제 대표사례 될 것

[시사뉴스 신형수 기자]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안양동안을)이 지난 5일 경기도 안양시민들을 대상으로 자체적으로 실시한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안양교도소를 이전해야 한다’는 조사결과가 전체 응답자 중에서 70.1%로 나타났으며, 현 안양교도소 부지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첨단지식산업지구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 의원은 경기도 안양시민을 대상으로 안양교도소 이전과 지역사업에 관한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3월 5일 ARS를 통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대상자는 1,160명이며 표본오차는 95%에 신뢰수준에 ± 2.88%이다.

여론조사 중에서 안양교도소의 이전여부와 관련한 질문에 ‘교도소를 다른 지역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응답이 70.1%(813명), ‘현재 위치에 재건축 해야 한다’는 의견이 23.1%(268명),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6.8%(79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대법원에서 교도소 재건축이 최종 결정 났지만 심 의원이 지역발전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교도소 이전 노력과 관련해 이전 성공 가능성에 대해서는 56.8%(659명)이 성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불가능할 것이다’는 응답은 24.1%(280명), 잘 모르겠다는 19.1%(221명)로 나타났다.

안양교도소 이전에 성공한다면 현 교도소 부지를 향후 어떤 용도로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첨단지식산업지구가 48.3%(560명), 공원녹지가 20.4%(237명), 주거지역이 15.2%(176명), 상업지구가 8.1%(94명), 잘모르겠다가 8.0%(93명)으로 나타났다.

심 의원은 대표적인 도심 교정시설인 안양교도소의 경우 주변 시세가 평당 1천 5백만원에 달하는 만큼 교정부지 12만평(396,694m2)의 가치는 1조8천억원에 이르며, 지역경제 활성화 뿐만 아니라 국익 차원에서도 현행 교도소 부지 이전 필요성을 촉구하고 있다.

심 의원은 현재 추진되고 있는 인덕원~수원 전철이 개통되고 교도소 앞 호계사거리에 역이 들어서게 되면 안양교도소 부지의 가치는 더욱더 올라가는 만큼, 안양교도소 부지를 시민들을 위한 문화체육 공간과 최첨단 지식산업지구로 개발할 것을 정부 관계부처에 촉구하고 있다.

또한 교정시설의 이전 문제와 관련하여 정부와 지자체간의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교정시설 등 국유재산 재배치에 관한 법률』 제정안도 국회에 제출했다.

심 의원은 “지난해부터 창조경제를 대표할 수 있는 정책으로 안양교도소 이전문제를 정부 부처와 협의하고 있으며 정부측도 교도소 이전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만큼 안양교도소 문제를 반드시 풀어내겠다”며 “도심내 위치해 지자체와 중앙정부간 갈등을 빚고 있는 교정시설의 경우 외곽지역으로 재배치하고 개발 차익을 이전지역에 투자해주는 방식으로 정부가 합리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