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정치

박광온 “FTA 활용율을 높이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URL복사

중소기업 활용율 59%에 불과, 대기업은 80.5%

[시사뉴스 신형수 기자] 정부는 금년까지 미국, EU 등 49개국과 11건의 FTA를 발효함으로써 GDP 기준 세계경제의 60%에 해당하는 경제영토를 확보하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중소기업과 아세안 지역의 경우 활용도가 낮아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정치민주연합 박광온 의원(수원 영통)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기업규모별로 보면 2014년 현재 대기업은 80.5%의 수출 활용률을 보인 반면, 중소기업은 59%에 불과하며, 협정별로 보면 아세안 지역의 경우 대기업을 포함하더라도 활용율이 37%에 불과했다.

일부 국가가 자국의 산업보호를 목적으로 관세 장벽으로 활용하며 무역분쟁을 심화시키고 있는 품목분류 국제 분쟁 분야에서도 중소기업에 대한 각별한 대책이 요구된다. 관세청도 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해 2007년부터 「HS 국제분쟁 신고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있지만, 성과의 대부분이 대기업 위주로 나타나고 있다.

관세청은 위 표에 나타난 DMB, 태블릿 PC, HDMI 모니터 외에도 휴대폰용 MAIN-PBA(2013년, 삼성전자, 100억), TV튜너(2013년, LG이노텍, 100억), 디지털 복합기(2007년, 삼성전자, 연 13억원), 롤상의 편광필름(2007년, LG화학, 연 50억원), 캠코더(2010년, 삼성전자, 연 100억원), 드라이브 IC Assy(2010년, LG디스플레이, 연 532억원), 갤럭시플레이어(2011년, 삼성전자, 연간 30억원) 등 대기업 위주로 성과를 홍보하고 있다.

FTA 수출 활용률도 낮지만 비관세 장벽이 높은 아세안, 인도 지역은 FTA통관 애로도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광온 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년 12월 기준으로 전체 146건의 통관 애로 2/3이 넘는 99건(68%)가 아세안과 인도에서 발생했다. 다른 지역의 경우에는 ‘질의성 민원’이 대부분이었으나, 아세안과 인도는 C/O(Certificate of Origin. 원산지증명서) 불인정, 품목분류 상이 등 문제해결형 애로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박광온 의원은 “앞으로 우리나라의 무역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첨단 신상품 수출이 더욱 가속화 될 것이며 FTA 확대에 따라 품목분류 국제분쟁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FTA 전담 인력을 갖추고 있는 대기업보다는 인력과 자금, 정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대중국 수출기업(33,092개) 중에 약 25,000개, 77%(’14년 통관자료 기준)가 FTA 활용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철저한 준비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