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상미 기자]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9일 '한글날'을 맞아 한글지키기에 나섰다.
서 교수는 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글날을 맞아 ‘한글오류 수정 캠페인’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이 캠페인은 전 세계 주요 관광지나 공항, 박물관 등에 표기되어 있는 잘못된 한글표기를 찾아 바로잡자는 취지로 지난해 한글날부터 시작됐다.
서 교수는 “전 세계를 다니면서 외국인들이 많이 모이는 관광지, 공항, 미술관 및 박물관 등에 한글로 된 소개글을 간혹 보는데 잘못된 한글표기가 너무 많았다”라고 전했다.
또한 “많은 외국인들이 모이는 곳인 만큼 올바른 한글표기를 해 주는것이 한글 홍보에 더 큰 힘이 되기에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이번 캠페인을 시작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세계적 관광명소인 뉴욕 현대미술관(MoMA)은 '있습니다'가 아닌 '있읍니다'로 표시되어 있었고 일본 간사이 국제공항은 '북쪽 출구'를 '북측윙'으로 한국인 조차도 이해하기 어려운 표기를 하고 있었다.
이에 서 교수는 한글을 알리는 첫 걸음으로 이같은 세계 곳곳의 잘못된 표기를 고쳐나가기로 하고 지난해 한글날부터 제보를 받기 시작했다. 그 결과 지금까지 1년간 약 80여 건의 잘못된 한글표기에 관한 제보가 들어왔으며 해당 국가에 전화나 메일 등을 통해 수정요청을 하기 시작했다.
또 표기뿐만 아니라 한글과 맞지 않는 글꼴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많아 이 부분에 대한 한글 글꼴 다운로드 방법 등에 대한 안내도 병행할 방침이다.
서 교수는 “잘못된 한글 오류를 바꾸기 위해 시작한 캠페인인데 한글 표기가 맞는 반면 한글 글씨체가 엉망인 곳도 많이 발견 됐다”며 “이런 글씨체도 바로 잡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캠페인은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닌 누리꾼들의 제보가 많아야 가능하다”며 외국에서 잘못된 한글 표기를 발견할 경우 사진을 찍어 bychoi@ygeneration.co.kr로 제보하면 직접 수정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 교수는 앞으로 해외 뿐만 아니라 국내 유적지나 관광지 등에도 잘못된 표기가 많아 이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도 함께 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서 교수는 뉴욕 현대미술관, 미국 자연사박물관 등 세계적인 유명 미술관과 박물관에 한글 안내서를 제공해 왔고 월스트리트저널 1면에 ‘안녕하세요’, ‘고맙습니다’ 등 한국어 교육 캠페인 광고를 게재하는 등 한글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