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상미 기자]황우여 교육부 장관 겸 사회부총리는 8일 “지방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시·도 교육감들과 항상 열린 자세로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황 장관은 이날 오후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구체적인 교육정책에 대해 서로 의견이 다를 수 있겠지만 우리 교육과 대한민국을 생각하는 마음은 하나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진보 성향의 시·도 교육감들과도) 반드시 같이 협력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고 강조했다. 황 장관의 이같은 발언은 진보 교육감과 교육정책을 놓고 갈등이 빚어질 수 있는 만큼 선제적으로 '소통'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법외노조 대응방안,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폐지 등을 놓고 양측이 입장을 달리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반값등록금 문제에 대해서는“대학생들이 더 이상 높은 등록금에 좌절하지 않도록 소득연계형 반값 등록금을 목표대로 완성하고 등록금과 교육 경비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우리 대학생들은 아직도 높은 교육 경비 마련과 취업준비로 인해 학문 탐구에 매진하고 낭만을 즐겨야 할 대학시절을 훼손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황 장관은 “유아 단계에서는 유·보통합을 통해 영아기때부터 일관된 교육을 하겠다”며 “초등학교는 인간좀엄 의식과 안전 내면화, 중학교는 자유학기제를 통한 진로탐색 기회 마련, 고등학교는 바른 직업관과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며 단계별 목표를 제시했다. 김영삼 정부 시절인 1995년 시행한 '5·31 교육개혁'을 새로운 교육의 틀로 모색하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5.31 교육개혁'은 학습자 중심교육, 교육의 다양성, 자율과 책무에 바탕을 둔 학교운영 등으로 다수의 정책들이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황 장관은 “경쟁을 통한 성취보다는 국민 개개인의 행복 구현이 정책의 목표가 되는 시대가 도래했다”며 “5.31 교육개혁을 재조명하면서 지켜야 할 교육의 기본적 가치는 유지하면서 새로운 시대변화에 부응하는 교육의 새로운 틀을 모색할 때”라고 말했다.
우리교육의 고질적인 문제인 학벌주의에 대해서는 “학벌주의의 폐단을 해소하고 개인이 가진 능력으로 인정받는 사회가 구현되도록 선취업 후진학과 취업 및 학습여건 조성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밖에도 “세월호 침몰사고를 계기로 학생과 학부모가 안심할 수 있도록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교육활동 전반의 안전 수준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 올리겠다”며 “세월호 침몰사고 이후 흔들리고 있는 공교육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