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정부는 7일 추석 명절을 계기로 남북이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할 수 있다는 보도와 관련,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조만간 북한과 추석계기 이산가족 상봉문제를 협의해 나갈 것이라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면서 "이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실무적 차원에서 여러 가지 검토는 할 수 있겠지만 현 단계에서 추석계기 상봉을 위해 정부가 구체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사안은 없으며 검토된 내용이 결정된 바가 없다"고 못박았다.
이산가족 상봉은 설 명절 때인 지난 2월 말 북한 금강산에서 남북 100명씩이 만난 이후 중단된 상태다.
이산상봉을 먼저 제의할 계획이 있는 지에 대해서는 "가능성을 배제한 것은 아니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검토해서 일정을 말해주거나 그런 상황은 아니다"면서 "앞으로 상황을 봐야하며 남북관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당국자는 "명절계기로 상봉을 해도 명절이 임박해서 하는 게 아니라 명절 앞뒤로 하는 것"이라며 "이달 중순이나 말께에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회담을 하더라도 9월 말이나 10월초가 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정부는 또 이산상봉과 아시안게임에 참가하는 북한 선수단·응원단 지원 문제는 별개라는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 선수단 응원단 지원 문제는 이산가족 상봉과 별개로 국제관례나 대외규정에 따라 북한과 협의해서 결정해 나갈 계획"이라며 "(북한의 아시안게임 참가를 위한 실무접촉을) 먼저 제의할 계획이 없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 지도부가 인천 아시안게임 때 북한 선수단 및 응원단에 대한 지원과 5·24 조치의 전향적 해제를 촉구한 데 대해서는 "북한의 책임있는 조치가 선행돼야 한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라고 거듭 밝혔다.
앞서 남북은 지난달 17일 판문점에서 북한의 아시안게임 참가를 위한 실무접촉을 가졌지만 비용 지원, 인공기 크기 등을 놓고 이견차이로 결렬됐다. 북측은 실무접촉 결렬 책임을 우리 정부에 전가하면서도 아시안게임 참가 의지를 지속적으로 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