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상미 기자] 현재 고1 학생들이 치르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한국사가 필수과목으로 지정된 가운데 정부가 일정 수준 이상의 학생은 모두 1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쉽게 출제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교육부는 10일 2017학년도 수능 한국사 필수과목 지정에 따라 한국사 예시문항을 10가지를 공개했다.
문제유형은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 알기 ▲역사에서 중요한 용어나 개념 이해하기 ▲역사적 사건의 흐름 파악하기 ▲역사적 상황 인식하기 ▲역사적 시대 상황 비교하기 ▲역사 탐구에 적합한 방법을 찾아 탐구 활동 수행하기 ▲역사 자료에 담긴 핵심 내용 분석하기 ▲자료 분석을 통해 역사적 사실 추론하기 ▲역사 자료를 토대로 개연성 있는 상황 상상하기 ▲역사 속에 나타난 주장이나 행위의 적절성 판단하기 등 10가지로 구성된다.
문제유형별 예시문항은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 알기' 유형에서는 고려의 대외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사실을 알고 있는지를 묻고 있는 문항이 제시됐다.
고려 조정이 몽골과 강화하고 개경으로 천도할 것을 결정하자 삼별초가 이를 거부하고 끝까지 몽골에 항쟁한 사실을 알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이다.
'역사에서 중요한 용어나 개념 이해하기' 유형에서는 조선 후기의 제도 개편에서 나타나는 주요 용어인 대동법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항이 예시로 나왔다.
질문도 '대동법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는 평이한 편이었지만 기존 문항의 경우 제시된 그림을 보고 그것이 대동법임을 파악해야 했다.
역사적 사건의 흐름을 파악하는 평가에서는 동학농민운동의 원인과 과정 결과에 대한 전체적인 줄거리 중심으로 이해하면 세부적 시점을 외우지 않고도 풀 수 있는 문제가 제시됐다.
'역사적 상황 인식'을 묻는 유형에서는 신석기시대의 대표적 유물인 갈판과 갈돌, 바닥이 뾰족한 빗살무늬 토기 사진을 제시하고 이 시기의 사회모습을 묻는 문항이 예시로 나왔다.
기존의 경우 청동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생활에 대한 세부적 지식을 평가했다면, 예시문항은 식석기 시대의 생활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평가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7학년도 수능 한국사 시험 안내자료를 평가원 홈페이지(www.kice.re.kr) 및 수능정보제공 사이트(ww.suneung.re.kr)에 공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