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6일 “앞으로 한국은 에너지 산업을 창조경제의 견인차로 발전시키고 창조형 에너지경제로의 전환경험과 노하우를 국제사회와 공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대구에서 열린 ‘세계에너지총회(WEC)’ 특별세션 연설에서 “한국은 그간의 성공적 경험을 토대로 우리 모두가 직면하고 있는 ‘에너지 삼중고’ 해결을 선도하며 세계 에너지시장에 건설적 기여를 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정부의 창조경제 구현 노력을 소개하면서 “에너지 산업은 창조경제 패러다임이 빛을 발할 수 있는 분야”라며 “에너지저장장치, 에너지관리시스템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전력 소비를 줄이고 이렇게 해서 절약된 전력을 전력거래시장에서 판매할 수 잇는 체제를 구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를 통해 2017년까지 최대 100만㎾의 전력피크를 절감하고 3조5000억원 규모의 시장과 1만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한국은 원유 수입국이자 석유제품 수출국가로서 국제사회의 입장을 조율하고 협력을 이끌어내는 일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한국이 ‘아시아 에너지장관회의’와 이번 세계에너지총회 등 에너지 관련 국제회의를 잇달아 개최한 것도 바로 이런 의지의 표명”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도 한국은 동북아 지역의 에너지 협력에 적극 참여하고 개발도상국의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늘려가면서 글로벌 에너지 협력을 위한 기여를 확대해 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번 WEC의 주요의제인 에너지 삼중고와 관련한 해법도 제시했다. 에너지 삼중고란 지속가능한 에너지 확보를 위해 세계가 당면한 3대 문제로 에너지 안보, 사회적 형평성, 환경영향 최소화 등이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에너지 생산국과 소비국간에는 협력보다는 긴장관계가 두드러졌던 것이 사실”이라며“에너지 생산국과 소비국 사이의 장벽을 허무는 글로벌 에너지협력의 대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1980년대 유럽의 러시아 가스 개발·도입 사례와 같이 동북아 에너지협력의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모색해야 한다”며 “북미지역과 중국의 셰일가스, 동시베리아의 석유와 가스 자원개발에 공동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역내 전력망과 가스배관망, 송유관을 비롯한 에너지 인프라가 상호 연계될 수 있는 환경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또 “성장과 환경이 상충하는 전통적 에너지경제 모델을 극복해야 한다”며 “창조형 에너지경제 모델로의 전환을 통해 에너지 절약과 환경개선 노력이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순환의 에너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현재 대다수 국가들의 에너지 정책과 제도는 화석연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데 초점을 맞춰 왔다”면서 “기존의 에너지 정책과 제도가 적합한 것인지 제로베이스에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에너지 가격체계와 규제를 조정하고 청정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며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되 에너지 낭비를 조장하지 않도록 지원방식을 합리화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