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27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

세계평화광복 청년대학연합, 정전 60주년 기념 퍼포먼스 및 6·25 사진전 열어

URL복사

“대한민국은 당신을 영원히 잊지 않겠습니다(Korea will never forget you forever!)”

전쟁종식과 세계평화광복을 위해 수천여 명의 청년이 평화를 외쳤다.

세계평화광복 청년대학연합이 주관한 ‘정전 60주년 기념 퍼포먼스 및 6·25 사진전’은 27일 오후 3시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렸다.

정전 60주년 6·25전쟁을 기념하며 전쟁종식과 세계평화를 위해 개최한 이번 행사는 청년대학연합 회원 2000여 명이 참여해 세계평화광복의 의지를 새겼다.
 
이날 행사는 “대한민국은 당신을 영원히 잊지 않겠습니다(Korea will never forget you forever!)”를 모토로 청년들의 기억에서 잊혀져가는 6·25전쟁을 되새기고 두번 다시 한반도와 세계에서 전쟁이 일어나지 않기를 염원하는 의미로 진행됐다.

또한 이재룡(민족정신수호협의회 대표), 신상철(성균관 태학사 학장), 최기용(전국 의용 소방대 연합회장), 강대봉(나라바로지키기 범국민운동본부), 이기철(자유총연맹 종교위원회 목사), 이동한(남북통일운동국민연합 회장), 박철효(유엔세계재활기구 유엔평화봉사단 의장), 윤승길(한민족 운동단체연합), 이영남(한류뉴스 회장), 이성회(대한 6.25전사자 공훈선양회 사무국장) 등의 주요인사와 참전유공자(10명) 및 많은 외국인(35명)이 참여했다.

세계평화광복 청년대학연합 강태호 대표는 이날 기념사에서 “6.25때 우리나라를 지켜준 모든 분들에게 감사한다”며 “이러한 사실을 잊지 않고 널리 전파하여 후손들에게 전쟁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전했다. 

이날 어린이 예술단과 북 공연으로 시작한 이번 행사는 크게 정전 60주년 기념 퍼포먼스와 사진전 및 부스행사로 이루어졌다.

정전 60주년 기념 퍼포먼스에서는 ▲각종 무용 공연 및 행사 참석자들 대상 감사 인사 ▲태극기 플래시몹 ▲사물놀이로 진행됐다.

6.25 사진전시에는 6.25전쟁 당시 대한민국 지원 국가에 대한 이미지 연출로 진행됐으며, 이를 통해 한국전쟁과 그 실상에 대해 올바른 지식을 전파했다.

행사를 주최한 한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6.25전쟁 참전 및 지원국에 대해 감사함을 느꼈으면 좋겠다”며 “정전 60주년을 맞아 우리나라 뿐 아니라 온 세계에 진정한 평화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일 안 해도 돈 준다’…청년 실업 대책, 계속되는 엇박자
‘청년 백수 120만’ 시대를 맞아 정부가 청년 고용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강력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백수’는 대한민국에서 15~29세 청년층 중 공식적인 통계에 잡히는 실업자는 아니지만, 실직 상태이거나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또는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쉬었음’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난 2월 통계청 발표에서 전년보다 7만여 명 이상 늘어난 120만7천 명에 달했다. 이중 실업자는 약 27만 명, 취업준비자 약 43만 명, ‘그냥 쉬었음’이 약 50만 명으로 그냥 쉰다는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는 공식적인 용어로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거나, 있더라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청년(쉬었음 청년, 구직 청년,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데 자칫 일 안 해도 정부가 수당도 주고, 각종 지원도 해준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 청년 세대의 어려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