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5 (금)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문화

단백질헬스보충제, 식약처 인증 제품을 택해야...

URL복사

세계챔피언 황철순 선수 “단백질보충제 섭취, 안전성 확인이 최우선”

먹는 음식은 원산지며, 유통기한 꼼꼼히 따지면서 헬스보충제는 왜 안전성을 확인해보지 않죠

 

tvN ‘코미디빅리그의 징맨이자 작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머슬마니아 피트니스 아메리카 대회에서 그랑프리를 차지한 머슬마니아 프로 세계챔피언 황철순 선수는 일반인들이 헬스보충제에 대한 지식 없이 무분별하게 섭취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헬스보충제의 경우, 식약처 검사를 통과한 후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를 획득한 제품을 섭취해야 안전하다. 해외에서 수입된 제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더욱이 수입품의 경우 국내에서는 금지하는 호르몬제 등이 함유된 제품도 있어 더욱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 하지만 온라인을 통해 판매되는 제품 중에는 함량이 분명하지 않거나, 안전성이 의심스러운 제품도 심심치 않게 눈에 띈다.

 

황철순 선수는 식약처 승인을 받은 안전한 제품인지, 아닌지를 따지는 것이 제품선택의 제 1요건이라고 힘주어 강조했다.

 

이어 헬스보충제도 운동목적에 따라 제품을 선택하면 운동효과와 만족도가 더욱 클 것이라고 조언을 덧붙이기도 했다. 무작정 헬스보충제를 먹고 보자는 식보다, 근육을 더욱 선명하게 하고 싶은지, 근육의 크기를 더 키우고 싶은 것인지 운동의 목적을 분명히 하고, 이에 따라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헬스보충제 제조업체 스포맥스(www.spomax.kr)는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만든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을 운동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 소개해 국내 전문 보디빌더들이 자주 찾는 곳으로 유명하다.

 

스포맥스 홈페이지에서는 현재 소비자의 올바른 선택을 유도하기 위해 단백질 헬스보충제, 구입전 꼭 따져봐야 할 것은?’이라는 가이드 라인을 올려놓고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체내 흡수가 빠른 단백질보충제(WPH) 제품이나 아미노산 제품은 근육의 선명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고, 단백질보충제(WPH) 제품의 꾸준한 섭취와 함께 일정량의 탄수화물(게이너)을 섭취하면 근육의 크기를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

 

황철순 선수는 많은 헬스전문가들이 안전성이 검증된 국산 헬스보충제를 복용하고, 많이 추천한다성공적으로 건강한 몸을 만들 수 있기를 바란다면 자신의 운동목적에 맞는 안전한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