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

인천서 정신지체 장애인 119에 상습 장난전화

URL복사

해제된 휴대폰으로 6개월여간 1천8백여회 건 후 말 없이 끊어

최근 인천소방안전본부(이하 소방본부)의 한 관계자가 관할 남부경찰서를 찾았다.

이유는 119 장난전화로 인한 업무 지장과 관련, 수사를 의뢰하기 위해서였다.

이때 소방본부 측은 경찰에 지난해 12월 3일부터 지난 5월 28일까지 약 6개월 동안의 119 통화내역을 제출했다.

내역에는 이 기간 동안 특정 휴대폰으로 119에 무려 1877차례나 전화를 건 것으로 기록돼 있었다.

모두 별다른 말없이 끊는 장난 전화였던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이를 토대로 수사를 벌인 끝에 그동안 119에 전화를 한 휴대폰의 주인이 인천 서구에 사는 A(47)씨인 것으로 밝혀냈다.

하지만 그 휴대폰은 번호가 해제돼 사용하지 않는 공 기계였던 것.

알고 보니 정신지체 1급 장애를 앓고 있는 A씨의 아들인 B(20)씨가 재미삼아 긴급통화 버튼을 눌러 119에 전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제된 휴대폰도 119나 112 등의 긴급전화 통화는 가능했던 것이다.

이는 B씨가 119에 전화했을 때 상대방이 “여보세요” “여보세요”하는 말에 재미삼아 벌인 행동의 일환인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이에 A씨는 “공 기계 통화 사실을 몰랐다”면서 “아들이 동생 휴대폰을 탐내서 자신이 사용했던 해제 휴대폰을 장난감으로 준 게 화근이 된 것 같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사정을 들은 소방본부 측은 그 전화로 인해 출동한 사실이 없는 점을 감안, 경찰에 불 처벌 의견을 냈다.

경찰도 통고처분 예외사항 조항에 따라 처벌하지 않는 것으로 의견을 모으고 내사종결 처리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광복 80주년 기념 정책포럼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연구원(원장 오균)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8월 14일(목) 오후 2시부터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에서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주제로 ‘제4회 서울연구원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의 공간 변화를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흐름을 되짚고, 향후 100년을 향한 서울의 미래 비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정책포럼은 △신민철 서울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장이 사회를 맡고,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의 ‘광복 이후 서울의 공간적 변화와 역사적 의의’ 주제발표 △김인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미래 변화와 준비’ 주제발표 △종합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 시민들의 도시의 탄생’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의 탄생과 성장 과정과 시민들의 삶이 각종 개발 사업에 의해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주목해서 설명한다. 특히 현대 서울의 정체성을 권력 있고 힘 있는 사람들이 주인공이던 왕조 시대의 수도에서 찾을 것인지, 아니면 모든 시민이 주인공인 민주공화정의 수도에서 찾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