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

[공연]이 솔리시티 베네티 내한공연

URL복사

정통 바로크 음악과의 만남


이 솔리스티 베네티(I Solisti Veneti) 내한공연


이탈리아 최고의 실내악단인 ‘이 솔리스티 베네티’의 내한공연이 오는 4월 24일(화) 예술
의 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지난 92년 첫 내한 연주회를 시작으로 94년, 96년, 99년에 이
어 다섯번째 공연을 가지는 이솔리스티 베네티는 지휘자인 클라우디오 시모네와 함께 한국
의 음악가들에게 이탈리아 바로크 음악의 정수를 선보이며 42년간 높은 명성을 지켜왔다.


정통 바로크 음악의 후예


이 솔리스티 베네티는 지난 1959년 이탈리아 파도바에서 클라우디오 시모네에 위해 창단된
이탈리아가 자랑하는 세계 최정상의 실내악단이다. 이 무지치(I Musici)와 더불어 이탈리아
실내악계를 양분하고 있으며 이 솔리스티 이탈리아(I Solisti ltaliano)와 함께 이탈리아 3대
실내악단으로 불리운다.


이 솔리스티 베니티는 유서깊은 바로크 음악의 고향인 베네토 지방에서 탄생했다. 이 곳은
예로부터 문화 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거장들이 활동한 지역으로 유명하다. 이 지방의 중심
도시가 베네치아와 파도바인데, 특히 베네치아를 중심으로 한 ‘베네치아 악파’의 활동은
이탈리아 바로크 음악의 형성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이렇게 유서깊은 베네토지
방의 음악가들이 모여 결성한 실내악단이 바로 이 솔리스티 베네티이다.


이들의 특이한 점은
‘이탈리아 합주단’이나 ‘이 무지치’는 로마를 중심으로 하여 설립 된 합주단이므로 연주자들이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 출신들이 대부분인 반면 베네티
합주단 원은 파도바 음악원과 베네치아 음악원 출신들로 구성되어 있어 비발디, 알비노니, 타르티니 같은 바로크 시대 중심 인물들의 직접적인 후예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며, 이 점이 이들의 앙상블이 남다르게 들리는 이유이다. 지난 1984년 창단 25주년 기념공연을 비센자의 올림픽 극장에서
그들의 후원자이기도 한 이탈리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가진 바 있는 이 솔리 스티 베네티는 1965년도부터 매년 잘츠부르크 음악제에 참가하고
있으며 수년 전 부터는 베 니스 음악의 예술적, 문화적 유산을 널리 알리기 위해 파도바 시의회와 공동으로 베니스 음 악제(Veneto Festival)를
기획하고 있기도 하다.


클라우디오 시모네의 명지휘


뛰어난 음악학자이며 음악감독이자 지휘자인 클라우디오 시모네의 학구적인 면에 힘입어 비
발디, 알비노니, 제미니아니, 코렐리 등의 거의 모든 작품을 레코딩한 이솔레스티 베네티의
음반은 매우 방대하여 총 23여종에 달하며 그 레파토리에 있어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지휘자인 클라우디오 시모네는 1934년 이탈리아 파도바 출신으로 이탈리아 신문 La
Gazetta del Veneto에 5년동안 칼럼을 기고한 음악평론가이기도 하다. 1959년 이 솔리스티
베네티를 창단하여 지금까지 음악감독겸 상임지휘자를 맡고 있으며 베니스 음악원, 베르디
음악원을 거쳐 현재는 파도바 음악원장으로 재직중이다. 그의 업적 중에서 가장 훌륭한 점
은 대작곡가의 그늘에 가려 빛을 보지 못하고 있던 작곡가에게도 각별한 관심을 가짐으로써
레파토리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해오고 있다는 점이다.


엘리자베스 기념 메달, 이탈리아 대통령 금메달, 로스엔젤리스 그레미상 등 다양한 수상경력
이 말해주듯 시모네의 음악활동은 전 세계에 걸쳐 폭넓은 인정과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지휘자로서의 그의 연주는 원전악보에도 충실하면서 청중을 그의 음악 속으로 몰입시키는
위력을 갖고 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바이올리니스트 서혜주 협연


이번 공연에서 바이올린 협주를 선보일 서혜주는 1989년 미국의 줄리어드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하였고 91년 L.A의 남캘리포니아대학에서 석사학위를, 95년에는 마이애미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각종 콩쿨에서의 입상과 협연 및 독주회 경력을 자랑하는 그녀는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중앙대학교, 수원대학교 등의 학교에 출강중이다.


공연일시: 4월 24일(화) 오후 7시 30분
공연장소: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문의: 문화일보사업부 (02-3701-5757∼9)
한국아카디아 (02-3665-4950)




장진원 기자 jwjang@sisa-news.co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방송법 개정안' 필리버스터 이틀째… 민주당, 5일 오후 본회의서 표결 처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방송법 개정안'에 대한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다. 국회는 지난 4일 열린 본회의에서 방송법 개정안을 상정했다. 이에 반발한 국민의힘은 신동욱 의원을 시작으로 필리버스터에 돌입했다. 신 의원은 오후 4시 1분께부터 약 7시간 30분동안 반대 토론을 펼쳤다. 그는 "이 법은 1980년도 신군부의 언론통폐합에 버금가는 언론 목조르기법이라고 감히 생각한다"며 "제가 31년 동안 방송계에 종사했지만 이걸 방송개혁이라고 하는 주장에 너무나 기가 막힌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 방송만들기 프로젝트'라고 불러달라. 그러면 저희가 순수하게 받아들이겠다"고 했다. 두 번째 토론자로 나선 김현 민주당 의원은 오후 11시 33분께부터 찬성 토론을 펼치며 "방송3법 개정안을 추진하는 목표는 방송의 자유와 독립을 보장하고 방송의 공적 책임을 높이기 위함"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이 반대 토론을, 노종면 민주당 의원이 찬성 토론을 진행중이다. 방송법은 현행 11명인 KBS 이사 수를 15명으로, 9명인 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EBS 이사 수를 13명으로 늘리고 이사 추천 주체를 다양화한 것이 핵심이다. 또 지


사회

더보기
김형재 서울시의원, 서울역사박물관 주관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개막식 참석해 축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 강남2)은 4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과 ‘우리들의 광복절’공동 개막식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특별전은 서울역사박물관과 서울시 문화본부가 공동 주최하며,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복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시민들과 함께 기억하기 위해 기획됐다. 개막식에는 김형재 의원을 비롯해 박물관 및 문화계 인사, 연구자,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해 뜻깊은 자리를 함께했다.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 전시는 많은 독립지사를 배출한 안동시와의 교류협력 속에서 만주지역 무장독립투쟁을 이끈 상해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이셨던 이상룡 선생과 이상룡 선생의 고택 임청각의 역사를 조명할 예정이며, ‘우리들의 광복절’ 전시의 경우 문학, 음악, 영화 등 대중문화 속 광복절을 되새기며 시민의 기억을 담아낼 계획이다. 김 의원은 이날 축사에서 “단재 신채호 선생님께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하셨고, 역사학자 E.H.Carr는‘역사는 되풀이된다’고 했다”며 “그런 의미에서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시와 서울역사박물관이 함께 마련한 이번 특별전은 매우 시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