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1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히든기업

【대기업과 중소벤처기업, 스타트업의 상생협업 세미나】 ㈜플로시스 대표 엄상수

URL복사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한국의 중소 제조업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저기 수입품으로 내수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고, 생산 작업자 인력을 고용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으며 사업을 포기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인건비 상승으로 고정 생산비 비중이 커지면서 가격 경쟁력이 하락하고 있는 점도 문제다. 대부분의 제조 기업이 사람이 작업하는 공정이나 자동화가 어려운 다품종 소량생산을 하고 있다는 점도 위기의 한 원인이다. 제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산 프로세스 등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생산관리 효율성을 전면 혁신해야 한다. 방안으로는 ▲스마트팩토리 제조 프로세스 혁신 ▲로봇 자동화 생산, 실시간 공정 모니터링 및 통제 ▲AI 디지털트윈으로 생산 예측 및 개선 ▲비용 절감 및 생산 및 품질의 증대 등이 필요하다. 

 

 

FLOSYS는 어떤 회사?


플로시스는 Smart, AR(Automated Robot), MES(제조 실행 시스템: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Solution을 제공하는 중소기업 제조 혁신 플랫폼이다. 한마디로 로봇을 이용한 제조 실행 시스템 전문회사라고 정의할 수 있다. 플로시스의 VP(Value Propositions)는 첫째, 중소기업 대상의 저비용 로봇 자동제조 공정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고, 둘째는 로봇 자동화 제조에 특화된 스마트 MES 시스템 솔루션 제공, 마지막으로 실시간 데이터 및 디지털 트윈에 따른 통합 로봇 공정 모니터링 및 실시간 관리, AI 기반 공정 개선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 상정하고 있다. 

 

 

FLOSYS 솔루션만의 강점


플로시스가 제공하는 솔루션 Simplant는 국내 최초 클라우드 기반 AR MES로 디바이스는 자체 개발한 저가형이다. 현재 제품과 서비스를 보았을 때 MES 및 로봇 자동화 회사는 많다. 플로시스가 기존 회사들과의 다른 경쟁 요소는 제조 MES에서 로봇 공정 자동화, 그리고 머신비전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통합 솔루션을 보유한 점이다. 뿐만 아니라 로봇 생산자동화를 위한 모든 협력 업체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고, 제품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온라인 마켓 가격도 오픈정책으로 하고 있다. 판매 대상은 고비용으로 로봇 도입이 어려운 중소기업이나 고위험 및 기피형 공정의 로봇 적용 섹션, 2D/3D 머신비전 및 CAM 융합형 로봇 공정이다.

 

 

FLOSYS 2023년 예상 매출액 7억~15억


플로시스는 Turin robot, Han’s Cobot, Ufactory, Yaskawa 로봇 총판 및 공급 계약을 맺었고, 중국, 대만 로봇 레일 및 포지셔너 주문 제작 및 안전펜스 중국 OEM 생산하고 있다. 매출액은 2022년에 4억을 달성했고, 2023년 예상 매출액은 7억~15억이다. 플로시스는 IR를 통해 투자, 사업, 비즈니스모델, 로봇, 경영 전문가의 냉정한 평가를 받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팩토리 및 제조 로봇 공정 자동화 전문회사로서 투자와 협업을 진행코자 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한미 비자 워킹그룹 공식 출범 첫 회의…"B-1(단기상용) 비자 가능한 활동 명확"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미 비자워킹그룹 출범 첫 회의에서 한국 기업들의 안정적인 대미 투자를 위해선 원활한 인적 교류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조치가 필수적이라는 데 대해 인식을 공유했다. 한미 양국 정부대표단은 30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한-미 상용방문 및 비자 워킹그룹'을 공식적으로 출범시키고 1차 협의를 진행했다고 1일 외교부가 밝혔다. 한국 측에선 정기홍 재외국민 보호 및 영사담당 정부대표를 수석대표로,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참여했다. 미국 측에선 케빈 킴 국무부 동아태국 고위관리룰 수석대표로 국토안보부, 상무부, 노동부가 참여했다. 한미 양국은 미국의 경제·제조업 부흥에 기여하는 한국 기업들의 안정적인 대미 투자를 위해선 원활한 인적 교류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조치가 필수적이라는 데 대해 인식을 공유했다. 회의에 참석한 크리스토퍼 랜다우 국무부 부장관은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이행을 위한 인력들의 입국을 환영하며, 향후 한국 대미 투자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주한미국대사관 내 전담 데스크 설치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다. 양국은 한국 기업의 활동 수요에 따라 B-1(단기상용) 비자로 가능한 활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천시의 역사, 문화 등을 담은 「디지털사천문화대전」 서비스 공식 오픈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김낙년)과 사천시(시장 박동식)는 「디지털사천문화대전」의 시범 운영을 마치고 오는 10월 1일 홈페이지를 공식 오픈한다고 밝혔다. 이번 편찬 사업은 2023년 3월 시작해 2년여 만에 결실을 맺은 것으로, 사천시는 전국에서 119번째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편찬을 완료한 지역이 됐다. 「디지털사천문화대전」은 △지리 △역사 △문화유산 △성씨⸱인물 △정치⸱경제⸱사회 △종교 △문화⸱교육 △생활⸱민속 △구비전승⸱언어⸱문학 등 9개 분야로 구성됐다. 총 1,300여 항목, 2,150건의 사진, 10편의 영상 등이 수록돼 사천의 과거와 현재를 입체적으로 담아냈다. 모든 데이터는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이번 대전에는 기획 항목 ‘사천, 우주항공의 전초기지가 되다’를 마련해 사천시의 현재 위상을 조명했다. 사천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등 80여 개 우주항공 관련 기업이 집적한 곳으로, 생산·연구개발·정비 시설이 고루 갖춰져 있다. 이로써 사천시는 국내 항공기 제조 산업의 생산액 80%, 종사자 수 70%, 사업체 수 67%를 차지하며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항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일 안 해도 돈 준다’…청년 실업 대책, 계속되는 엇박자
‘청년 백수 120만’ 시대를 맞아 정부가 청년 고용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강력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백수’는 대한민국에서 15~29세 청년층 중 공식적인 통계에 잡히는 실업자는 아니지만, 실직 상태이거나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또는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쉬었음’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난 2월 통계청 발표에서 전년보다 7만여 명 이상 늘어난 120만7천 명에 달했다. 이중 실업자는 약 27만 명, 취업준비자 약 43만 명, ‘그냥 쉬었음’이 약 50만 명으로 그냥 쉰다는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는 공식적인 용어로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거나, 있더라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청년(쉬었음 청년, 구직 청년,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데 자칫 일 안 해도 정부가 수당도 주고, 각종 지원도 해준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 청년 세대의 어려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