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항만공사, 국제 수소 산업 교류 온라인 세미나서 “울산항 그린수소 물류허브 사업” 발표

URL복사

- 수소에너지 전환 촉진을 위한 국제 협력 관계 구축 나서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항만공사(UPA, 사장 김재균)는 지난 16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2022 국제 수소 산업 교류 온라인 세미나’에서 한국 측 연사로 참가해 ‘울산항 그린수소 물류허브 사업’을 발표하며 수소에너지 국제 협력관계 구축에 나섰다.

 

‘2022 국제 수소 산업 교류 온라인 세미나’는 스페인 빌바오 항만이 주관하는 인터포트 프로젝트(Interport Project)의 일환으로 개최됐다.

 

인터포트 프로젝트는 수소관련 기관, 기업, 유관단체가 국제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채널을 구축하는 것으로, 첫 세미나인 올해는 한국과 스페인 바스크 지역의 주요 수소 관련 기관이 참가했다.

한국에서는 울산항만공사가 수소융합얼라이언스 김성복 단장, 전북대학교 이중희 교수(수소경제위원회 위원)와 함께 연사로 나섰다.

 

UPA는 이날 발표에서 ‘울산항 그린수소(암모니아) 물류허브 육성 사업’을 소개하며, 정부의 탄소중립 전략에 따라 해외 그린수소 수입 밸류체인(구매, 해상운송, 저장, 국내 유통, 수요)을 구축하고 수소 수입 사업화를 위한 울산항의 경쟁력을 홍보했다.

 

세미나에는 효성중공업, 강원테크노파크, 충북테크노파크, H2meet , 엔라이튼 주식회사, Panasia, Petronor, H2M, 바스크 수소협회, 안달루시아 수소협회, 카나리제도 해양플랫폼, 바스크 경쟁력 연구소 등이 참석하여 수소 산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UPA 김재균 사장은 “이번 온라인 세미나가 한국 및 스페인 내 수소 전문 기업과의 네트워크 구축 계기가 되기를 원하고, 앞으로 수소에너지 전환 촉진을 위한 국제 협력 관계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UPA는 ‘에너지 물류를 선도하는 에코 스마트 항만’이라는 비전 아래 2030년을 목표로 울산항 내 해외 그린수소 물류거점인 그린수소(암모니아) 탱크터미널을 조성하고 초기 해외 그린수소 물동량을 선제적으로 확보해 동북아 에너지물류항만을 구축키 위해 노력중에 있다.

 

밸류체인 중 ‘저장’에 해당하는 그린수소 수입·공급 거점 구축 사업지는 울산항 내 북신항 3선석(5만DWT 270m 2선석, 2만DWT 210m 1선석/배후부지 349천㎡)으로 예정돼 있으며, 지난해 1월부터 총 사업비 약 900억 원을 투입해 5만DWT 1개 선석을 구축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