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

겨울철새 전국 156만 마리 확인…AI 비상, 방역 강화

URL복사

한 달새 9.3% 늘어…1년 전보단 3% 더 관찰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전국에서 겨울 철새 101종 약 156만 마리가 확인됐다. 겨울철새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주된 전파 경로로 꼽힌다.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9~11일 사흘간 전국 주요 철새 도래지 20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겨울철새 서식 현황 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현재 전국적으로 101종 156만5291마리의 겨울철새가 도래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달(143만2646마리)에 비해 9.3%, 지난해 같은 시기(151만9572마리)보다는 3.0% 더 많이 관찰된 것이다.

특히 조류인플루엔자 전파 가능성이 높은 오리과(오리·기러기·고니류) 조류는 125만5549마리 발견됐다. 전체 겨울철새의 80.2%를 차지한다. 전월 대비 15.1%, 전년 대비로는 2.1% 증가한 수치다.

겨울철새의 주요 분포 지역은 금강호, 영암호, 동진강, 만경강 하류 등 전북 서해안과 전남 서·남해안이다.

또 최근 일본에서 월동하던 흑두루미 중 일부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등에 의해 대규모로 폐사했는데 이를 피해 일부 개체들이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까지 확인된 흑두루미 개체 수는 6700여 마리다. 순천만에서 가장 많은 4437마리가 관찰됐으며 간월호(1055마리), 여자만(685마리), 광양만·갈사만(285마리), 고흥호(105마리) 등의 순이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는 흑두루미를 취약종으로 분류하며 전 세계적으로 1만5000여 마리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환경부는 흑두루미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흑두루미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허위행 생물자원관 국가철새연구센터장은 "지난달 21일에 일본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 흑두루미를 포함해 순천만에서 9800여 마리가 관찰됐지만 이후 일부 개체는 일본으로 다시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현재 국내에 남아있는 개체들은 순천만을 중심으로 분산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전했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상 겨울철새가 10월 말부터 본격 도래해 12월에서 이듬해 1월 사이 최대 개체군을 형성한다. '겨울철 조류 동시 총조사(센서스)'는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매달 실시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대응에 활용한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관계기관에 공유하고 내년 3월까지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대응한 비상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특히 상시예찰 대상 철새 도래지 87곳에 대해 주 1회 이상 예찰하고 출입 통제관리와 시료 채취 등을 실시한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지역에 대해서는 주 3회 이상 특별예찰에 나선다.

환경부 소속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등 야생동물 질병 진단기관에서는 조류인플루엔자 의심 폐사체 신고를 상시 접수받아 진단한다.

지난달 말까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건수는 69건으로 전년 동기(9건)보다 7.6배 증가했다.

김종률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올해 겨울철새는 지난해에 비해 소폭 증가했지만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수는 월등히 많이 나타나고 있다"며 "확산 예방을 위해 가급적 철새 도래지 방문을 자제하되, 부득이하게 방문할 경우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사회

더보기
고난도 간암 수술도 로봇으로 안전하게 , 서울아산병원 김지훈 교수팀, 간암 · 간종양 환자 ‘로봇 간 절제 100례’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간은 혈관이 많고 해부학적 구조가 복잡해 절제 시 출혈 위험이 상당히 크다. 이렇다 보니 간암 수술은 만일의 대량 출혈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로봇보다는 주로 개복이나 복강경 수술로 진행돼 왔다. 서울아산병원은 환자의 간 구조를 3차원으로 보여주는 영상과 절제할 부위를 구분해 주는 형광 조영 물질을 활용해 고난도 간암 절제도 로봇으로 안전하게 실시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김지훈 교수팀은 간암이나 간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연간 국내에서 가장 많은 로봇 간 절제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 1년 5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안에 100례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다. 로봇 간 절제술은 복부에 낸 직경 8mm 구멍 4개로 로봇 팔을 넣어 간을 절제하는 수술법이다. 의료진 입장에서는 손 떨림이 보정되고 수술 화면이 10배 확대되어 주요 혈관 등에 손상을 끼칠 위험이 낮다. 환자에게는 상처와 통증, 출혈이 최소화되고 합병증 발생 위험이 적어 안전하다. 회복이 빨라 입원 기간이 단축된다는 장점도 있다. 로봇의 다양한 장점 덕분에 전립선암이나 직장암, 신장암 등 여러 암종에서는 이미 로봇 수술이 보편화돼 있다. 하지만 간은 여전히 로봇 수술

문화

더보기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등... '서귀포국가유산야행'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제주마을문화진흥원은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이 개막했다고 14일 밝혔다. 서귀포항 일대에서 개막 예정인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주최 기관 제주마을문화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2주간 사전 신청을 받은 결과 유람선을 탑승해 문화유산을 둘러보는 ‘해상 문화유산 투어’ 500명과 기간 동안 매일 저녁 열리는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에서 회차별 30명을 넘기는 신청이 접수됐다. 특히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은 사전 신청을 하지 못한 분들도 관객의 자격으로 진행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제주의 신화를 기반으로 유려한 자연경관과 역사 체험을 위해 기획된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은 사전 신청을 받은 프로그램 외에도 야경, 야로, 야설, 야사, 야화, 야시, 야식, 야숙 등 ‘8야’를 주제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신용구 작가가 구현한 ‘서천꽃밭’과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그리고 홀로그램을 통해 구현한 영등할망의 방문은 밤바다와 신화가 어우러지는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버스킹 무대와 어우러진 먹거리 장터도 열려 눈과 귀 그리고 미각까지 만족감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