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낙동강유역환경청, 제4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URL복사

대형사업장 자발적 감축, 불법 배출 첨단 감시 및 단속 강화
5등급 차량 운행제한, 농촌 불법소각 예방을 위한 교육 및 수거지원 확대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낙동강유역환경청이 다음 달 1일부터 4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추진한다 30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계절 요인으로 초미세먼지 농도가 더욱 높아지는 내달부터 다음해 3월 말까지 대염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함이다. 홍동곤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은 “이번 미세먼지 계절관리 시행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저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시민들 협조를 부탁했다.

 

이번 조치 주요 내용은 ▲지난 10월부터 시행된 공공자원회수시설은 배출량 감축 ▲시에서 시행되는 5등급 차량 운행제한 조기 정착을 위한 TV・라디오 캠페인 ▲굴뚝 배출 등 원격감시용 태양추적분광기 도입 등이다.

 


The Nakdong River Basin Environment Agency will promote the 4th fine dust seasonal management system from the 1st of next month. It was announced on the 30th.

 

The move is aimed at reducing the emission of anti-inflammatory substances from next month to the end of March next year, when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dust increases further due to seasonal factors. Hong Dong-gon, head of the Nakdonggang River Basin Environment Office, asked for citizens' cooperation, saying, "We will do our best to reduce the occurrence of high concentrations of fine dust this season."

 

The main contents of this measure are ▲ Reducing emissions of public resource recovery facilities implemented in October ▲ TV and radio campaigns to establish early restrictions on the operation of Class 5 vehicles in the city ▲ Introducing solar tracking spectroscopy for remote monitoring such as chimney emission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