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북구, 혁신교육 성과공유회 개최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 북구는 30일 평생학습관에서 혁신교육 성과공유회를 열고,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북구 혁신교육 협력기관인 울산교육청, 강북교육지원청, 에너지경제연구원, 유니스트, 울산과학대학교, 동남권과학창의진흥센터 관계자가 참석해 사업추진 성과를 발표하고, 마실강사들은 활동 소감을 발표하는 등 성과를 공유했다.

 

북구는 올해 공공기관과 혁신교육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탄소중립에너지교육, 과학캠프, 영어놀이터, 과학한마당, 미래기술체험 진로캠프, 청소년토론배틀, 마실강사활동 등 16개 사업을 추진했다.

 

북구 관계자는 "앞으로도 북구의 아이들이 꿈을 키우고 펼쳐 나가도록 미래혁신교육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On the 30th, Buk-gu, Ulsan, held a performance-sharing meeting for innovative education at the Lifelong Learning Center and held a meeting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ficials from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the Gangbuk Office of Education, the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Unist, Ulsan Science University, and the Southeast Science and Creativity Promotion Center attended the event and shared their thoughts on the activities.

 

This year, Buk-gu signed a business agreement with public institutions to promote innovative education projects and promoted 16 projects, including carbon neutral energy education, science camp, English playground, science Hanmadang, future technology experience career camp, youth debate battle, and drinking instructor activities.

 

An official from Buk-gu said, "We will continue to do our best to promote future innovation education so that children in Buk-gu develop their dreams and develop the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