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 남구, 2022년도 하반기 중소기업 발전전략 워크숍 개최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남구 중소기업협의회(회장 최영수)는 23일 롯데시티호텔에서 중소기업협의회 회원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2년도 하반기 중소기업 발전전략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경영자의 상호 소통 강화 및 경영마인드 제고를 위해 개최됐으며, ‘환승경제! 2023 경제 및 주식시장 전망’이라는 주제로 경제전문가 염승환 이베스트투자증권 디지털사업부 이사의 특강으로 진행됐다.

 

남구는 그동안 중소기업 경영혁신 마인드 향상과 기업 간 협력을 통한 상생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워크숍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육성과 발전을 위하여‘경영안정자금 지원’등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책을 펼치고 있다.

 

서동욱 남구청장은 “대내외적으로 급변하는 경제 환경 속에서 중소기업이 초일류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한 중소기업 대표님들의 혁신적인 마인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The Nam-gu Small and Medium Business Council (Chairman Choi Young-soo) held a "Small and Medium Business Development Strategy Workshop in the second half of 2022" at Lotte City Hotel on the 23rd with about 80 members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Council attending.

 

This workshop was held to strengthen mutual communication among managers and enhance management mindset, and 'Transitional economy! Under the theme of 2023 Economic and Stock Market Outlook, it was held as a special lecture by Yeom Seung-hwan, director of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digital division.

 

Nam-gu has been continuously supporting workshop activities to improve SME management innovation mindset and promote win-win developmen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ompanies, and has been implementing various SME support measures such as "management stabilization fund support" to foster and develop SMEs.

 

Seo Dong-wook, head of the Nam-gu Office, said, "In order for SMEs to be reborn as super-class companies in a rapidly changing economic environment at home and abroad, innovative minds of representatives of SMEs based on the spirit of challenge are needed."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