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경상북도 포항시의회, 제300회 임시회 폐회

URL복사

포항시 공동주택 품질점검단 설치 및 운영조례안 등 29건 안건 처리

 

[시사뉴스 김대우 기자] 포항시의회(의장 백인규)는 22일 오전 제300회 임시회 2차 본회의를 열어 조례안 등 29건의 안건을 의결하고 폐회했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포항시 이·통·반장의 임무와 실비변상 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포항시 농경철기문화 테마공원 관리 및 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포항시 영유아 보육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포항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 26건은 원안가결 했으며, ▲포항시 비정규직근로자 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포항시 공유재산 관리계획(안) ▲포항시 공동주택 품질점검단 설치 및 운영 조례안 등 3건은 수정가결 했다.

 

백인규 의장은 “다소 짧은 기간에 조례안 검토, 현장방문 등 열과 성을 다해 의정활동을 해주신 동료 의원들께 감사드린다.”며 “곧 있을 2차 정례회 준비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다음 회기는 11월30일부터 12월22일까지 23일간 열리는 제301회 제2차 정례회로 2023년도 예산안 심사, 시정질문, 조례안 심사 등이 예정돼 있다.

 


The Pohang City Council (Chairman Baek In-gyu) held the second plenary session of the 300th extraordinary meeting on the morning of the 22nd and voted on 29 agenda items, including the ordinance, and closed the meeting.

 

At the plenary session, ▲the Pohang Ordinance on the Reimbursement of Non-regular Workers ▲the Pohang Ordinance o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gricultural Iron Culture Theme Park ▲the Pohang Ordinance on Infant Care ▲26 cases were decided by the original bill, and ▲the Pohang Ordinance on the Establishment of Non-regular Workers.

 

Chairman Baek In-kyu said, "I would like to thank my fellow lawmakers for their enthusiastic and sincere parliamentary activities such as reviewing the ordinance bill and on-site visits in a short period of time," adding, "Please make every effort to prepare for the upcoming second regular meeting."

 

The next session will be the 301st regular meeting, which will be held for 23 days from November 30 to December 22, with review of the 2023 budget, corrective questions, and ordinance reviews scheduled.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李 대통령 "정치, 사회 양극화와 격차 문제 최소한으로 완화"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민생·경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국민 패널 100여명과 함께하는 디지털 토크 라이브를 열고 "정치가 사회 양극화와 격차 문제를 최소한으로 완화해야 한다"며 "실현 가능한 현실적 정책들을 함께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콘텐츠문화광장에서 열린 '디지털 토크 라이브 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 에서 "우리나라 경제상황이 평균적으로 나쁘지 않은데, 압도적 다수의 사람들은 불평등 때문에 매우 힘들어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의 본질은 국민이 지금보다 더 나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국민의 삶에서 제일 중요한 게 경제 문제다. 먹고사는 게 힘들면 정말 피곤하다"고 했다. 지역균형 발전 방안을 두고는 "수도권 집값 때문에 시끄러운데, 사실 제일 근본적인 문제는 수도권 집중에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우리가 취업이 쉽지 않다 보니 전세계적으로 자영업 비율이 엄청 높은데, 최저임금도 못 버는 경우가 태반"이라고 했다. 또 "자영업을 하시는 분들은 요새 빚 때문에 더 난리인데, 금융 문제에 있어서는 지금보다 좀 개혁적으로 접근했으면 좋겠다"며 "선진국은 못 갚은 빚을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