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교육청, 학생참여 왁자지껄 우리 학교 영상 인기

URL복사

학생들이 직접 제작·편집한 학교 참여 유튜브 콘텐츠 19편, 누적 조회 2만 1,000회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노옥희)이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한 학교 참여 유튜브 콘텐츠 19편에 학생들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누적 조회 수 2만 1천 회를 넘기며 인기몰이 하고 있다.

 

학교 참여 유튜브 콘텐츠 공모는 작년에 이어 학생들의 많은 관심으로 올해 50개 팀이 참여를 신청했으며, 영상구성 계획 및 참여 학생 수 등을 고려하여 초·중·고 총 19개 팀을 최종 선정해 콘텐츠 제작을 진행했다.

 

영상에는 코로나19로 인해 3년 만에 치러진 교내 체육대회, 울산 밖으로의 수학여행, 학교 축제를 준비하고 즐기는 과정, 공간혁신 사업으로 개선된 학교의 멋진 공간들 등 학생들의 일상과 학교에 대한 자부심이 가득 담겨있다.

 

화질이 낮거나 카메라가 흔들리고, 주인공이 이야기하다가 갑자기 카메라 밖으로 사라지기도 하지만, 가공되지 않은 학생들의 학교생활이 생생하게 담겨있어 소소한 재미와 은근한 미소를 띠며 보게 한다.

 

촬영은 교육청에서 대여해 준 액션캠(고프로)을 이용하거나 학생의 스마트 폰으로 촬영하였으며, 영상출연자에 대한 초상동의서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울산교육청 유튜브 공식 채널에 탑재된 영상은 24일까지 ‘조회 수’와 ‘좋아요’를 합산해 최우수 1편, 우수 3편 선정하고 기프티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학생들의 자유로운 표현과 영상을 제작·공유하는 과정에서 친구들과 대화와 소통, 우정을 쌓는 계기가 되도록 구성 능력이나 영상미 등은 평가하지 않는다. 한 학생은 자신의 해외 SNS 친구들에게도 영상을 소개하여 방문하게 하는 등 적극적으로 학교 영상을 홍보하기도 하였다.

 

울산교육청 관계자는 “동영상 촬영·편집, 시나리오 작성 등 영상 관련 분야에 관심과 재능을 가진 학생들에게 좋은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학부모, 해당 학교 졸업생 등 많은 시민도 자녀들과 함께 영상을 즐기면서 학교생활에 대한 이야깃거리를 만들 수 있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As students' attention is focused on 19 school-participating YouTube contents released by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Noh Ok-hee) through YouTube channels, it is gaining popularity with more than 21,000 cumulative views.

 

Following last year, 50 teams applied for participation in the school participation YouTube content contest this year with a lot of interest from students, and a total of 19 teams were final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video composition plan and the number of participating students.

 

The video shows students' pride in their daily lives and schools, including the first in three years due to COVID-19, a school trip outside Ulsa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enjoying school festivals, and the wonderful spaces of the school improved by space innovation projects.

 

Although the quality is low, the camera shakes, and the main character suddenly disappears out of the camera while talking, the unprocessed school life of students is vividly captured, making them watch with small fun and subtle smiles.

 

Filming was done using an action cam (GoPro) ren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or using a student's smartphone, and a portrait consent form for video performers was submitted.

 

The video on the official YouTube channel of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will be selected as the best and three excellent films by adding "number of views" and "likes" by the 24th, and will provide gifticons.

 

This event does not evaluate students' ability to organize or visual beauty so that it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build conversation, communication, and friendship with their friend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sharing free expressions and videos. One student actively promoted the school video by introducing the video to his overseas SNS friends.

 

An official from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said, "I hope it will be a good opportunity for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and talented in video-related fields such as filming, editing, and scenario writing," adding, "I hope many citizens, including parents and graduates, can enjoy videos with their children."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