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북구퇴직자지원센터, 정리 실무가 교육과정 교육생 모집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 북구퇴직자지원센터는 23일부터 29일까지 신중년 취·창업 교육과정인 '공간&라이프 정리 실무가' 교육생을 모집한다.

 

이번 교육과정은 퇴직자의 공간정리분야 취업 및 컨설팅 분야 진로 개척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 ▲정리수납의 문제점 해결방안 ▲옷장 정리수납 실습 ▲공간별 정리수납 이해 ▲사례를 통해 보는 정리수납 컨설팅 ▲업사이클링 등으로 운영된다.

 

교육을 희망하는 사람은 북구퇴직자지원센터로 방문 또는 전화 등으로 신청 접수할 수 있다. 교육은 12월 1일부터 6일까지 북구평생학습관 4학습실에서 진행한다. 교육 관련 자세한 문의는 북구퇴직자지원센터 전화로 하면 된다.

 


The Ulsan Buk-gu Retirement Support Center will recruit trainees for the "Space & Life Organizer" training course for new middle-aged people from the 23rd to the 29th.

 

This curriculum is designed to help retirees find jobs in space organization and explore their careers in consulting. ▲ Solutions to problems in organization storage ▲ Practice in closet organization storage ▲ Understanding space organization storage ▲ Organization storage consulting ▲ Upcycling.

 

A person who wishes to receive education may apply by visiting the Buk-gu Retirement Support Center or by phone. Education will be held from December 1 to 6 at the Buk-gu Lifelong Learning Center 4 Learning Room. For more information on education, call the Buk-gu Retirement Support Center.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