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경남대학교, 2023학년도 전기 대학원 신입생 모집

URL복사

21일부터 모집 … 일반·교육대학원 25일까지, 산업경영대학원·행정대학원 30일까지 원서 받아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경남대학교는 오는 11월 21일(월)부터 2023학년도 전기 대학원 신입생을 모집한다.

 

이번 신입생 모집에는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산업경영대학원, 행정대학원에서 석사학위과정과 박사학위과정, 석・박사통합과정, 공개과정 등의 유형으로 선발한다.

  

모집 일정으로는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이 오는 11월 25일(금) 오후 6시까지, 산업경영대학원과 행정대학원이 오는 11월 30일(수) 오후 6시까지 대학원별로 각각 원서를 접수 받는다.

 

모집 관련 자세한 사항은 △일반대학원(☏249-2807~8) △교육대학원(☏249-2810~2) △산업경영대학원(☏249-2586~7) △행정대학원(☏249-2595~6)로 각각 문의하면 된다.

 

경남대 일반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는 △인문학과 △사회복지학과 △심리학과 △교육학과 △유아교육학과 △국어교육학과 △영어교육학과 △경영학과 △정치외교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도시재생학과 △군사학과 △건강과학과 △수학교육학과 △기계융합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융합IT공학과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문화콘텐츠학과 △음악학과 △체육학과가 있다.

 

이어 박사학위과정에는 △사회복지학과 △심리학과 △교육학과 △유아교육학과 △국어교육학과 △영어교육학과 △경영학과 △법학과 △정치외교학과 △동북아학과 △군사학과 △건강과학과 △수학교육학과 △기계융합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융합IT공학과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음악학과 △체육학과와 더불어 새롭게 신설된 △문화유산복원예술학과가 있다.

 

이와 함께 2023학년도 전기부터는 △경영학과(경영학전공) △정치외교학과(정치외교학전공) △메카트로닉스공학과(전기공학전공, 조선해양시스템공학전공) △융합IT공학과(컴퓨터공학전공, 정보통신AI공학전공)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토목공학전공, 스마트건설기술공학전공)에 대한 ‘석・박사통합과정’을 새롭게 신설해 모집을 진행한다.

 

교육대학원(토요일)은 석사학위과정으로 △교육컨설팅 △평생교육 △영재·창의성교육 △상담심리 △유아교육 △국어교육 △영어교육 △수학교육 △영양교육 △체육교육 등 10개 전공을 모집하며, 매주 토요일마다 15주간 수업이 진행된다.

 

산업경영대학원(야간)은 석사학위과정으로 인문사회계열인 △경영학과(일반경영전공, 전문경영전공<군사관리과정>)와 공학계열인 △기계공학과(기계공학전공) △전기공학과(전기공학전공) △토목공학과(토목공학전공) △정보통신공학과(정보통신공학전공), 예체능계열인 △문화유산복원예술학과(문화유산복원예술전공)에서 신입생을 각각 모집한다. 공개과정으로는 CEO과정이 있다.

 

행정대학원(야간)은 석사학위과정으로 △행정학과 △사회복지학과 △국방안보학과 △경찰학과 △법무학과 △경호보안학과에서 신입생을 각각 모집한다. 공개과정으로는 통일미래최고위과정이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