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4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 지역혁신 선도기업 7개사 선정

URL복사

중기부, 17일 ‘전국 선도기업100’ 출범식 개최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의 지역혁신을 이끄는 선도기업 7개사가 ‘전국 선도기업 100’에 선정되었다.

  

울산시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지난 3월 지역혁신 선도기업 4개사를 1차 선정하였고, 이어서 이달 초 3개사를 2차 선정했다.

  

‘지역혁신 선도기업’은 지난 1월 28일 시행된 「지역중소기업 육성 및 혁신 촉진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혁신 역량과 성장 가능성을 보유한 유망기업을 발굴해 지역의 주력산업 생태계와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선도기업(앵커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됐다.

  

울산 지역혁신 선도기업은 울산의 주력산업(친환경이동수단(그린모빌리티), 지능형(스마트)조선, 미래화학신소재, 저탄소에너지) 분야 기업 중 최근 3년 평균 매출액 132억 원(울산 지역스타기업 평균) 이상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심층평가를 거쳐 선정됐다.

   

선정기업은 1차 ▲아이케미칼 ▲오토렉스 ▲동양엔지니어링 ▲대명엘리베이터, 2차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영광 ▲주식회사 윤영테크 등 총 7개사다.

  

이들 기업에는 최대 6년간 산·학·연과의 협업을 통한 연구개발(R&D), 사업화, 국내외 판촉(마케팅) 등 맞춤형 프로그램이 지원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 지역혁신 선도기업들이 울산의 주력산업 생태계를 견인할 세계적 선도기업(글로벌 리딩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중소벤처기업부는 전국 지역혁신 선도기업 100개사가 최종 선정됨에 따라 17일 오후 2시 대구 엑스코에서 비수도권 14개 (부)단체장들과 100개 선도기업 대표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혁신 선도기업 100 출범식’을 개최한다.

 


Seven leading companies leading regional innovation in Ulsan were selected as the "100 National Leading Companies".

  

Ulsan City, along wit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selected four leading regional innovation companies in March, followed by three earlier this month.

  

Under the Act on Promotion of Regional Small and Medium Businesses and Promotion of Innovation, which took effect on January 28, "Regional Innovation Leading Companies" were promoted to discover promising companies with innovation capabilities and growth potential and to foster them as leading companies (anchor companies) that drive the ecosystem and local economy.

  

Ulsan's leading innovation companies were selected after an in-depth evalu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with average sales of 13.2 billion won (average of star companies in Ulsan) in the past three years among Ulsan's major industries (green mobility), intelligent shipbuilding, future chemical materials, and low carbon energy).

   

There are a total of seven selected companies, including primary ▲ I Chemical ▲ Autorex ▲ Dongyang Engineering ▲ Daemyung Elevator, secondary ▲ Smart Electronics Co., Ltd. ▲ Yeonggwang ▲ Yoonyoung Tech Co., Ltd.

  

These companies will be supported with customized programs such as R&D, commercialization, and domestic and foreign promotion (marketing) through collaboration with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for up to six years.

  

An official from Ulsan City said, "We will spare no support to help leading companies in Ulsan to grow into global leading companies (global leading companies) that will drive Ulsan's main industrial ecosystem."

  

Meanwhile,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will hold a "local innovation leading company 100 launching ceremony" at 2 p.m. on the 17th at Daegu EXCO, attended by more than 250 heads of 14 non-metropolitan organizations, representatives of 100 leading companies and officials from related agencie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