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5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일하는 사람이 존중받고 청년이 머물 수 있는 동구 만들겠다”

URL복사

김종훈 동구청장 시정연설…2023년 구정운영방향 밝혀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김종훈 동구청장은 내년도 구정운영 방향으로 "일하는 사람이 존중받고 노동자들이 다시 찾아오는 동구, 청년이 머물수 있는 동구를 만들겠다"며 "교육여건을 개선하고, 맞춤형 복지를 튼튼히 하며 동구만의 매력을 살리고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문화관광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종훈 동구청장은 11월 17일 오전 10시30분 동구의회 의사당에서 열린 제209회 정례회에 참석해 2023년도 예산안 제출과 관련한 시정연설을 통해 내년도 구정 운영방향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동구청은 올해 주요 성과로 다양한 공공일자리, 청년일자리 사업 및 조선업 퇴직자 맞춤형 일자리 지원사업으로 고용개선과 생계안정을 지원했으며,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추진해 다양한 문화예술 체험기회를 제공한 점과 동부회관 및 서부회관 공공체육시설 전환 토대 구축, 코로나19 일상 회복 지원 등을 성과로 꼽았다.

 

동구청은 2023년에는 일하는 사람들이 존중받는 동구 조성을 위해 지역 노동정책의 기틀을 마련하는 기본계획 수립, 여성직종 적정임금 실태조사, 노동조건 개선을 위한 장애인 복지일자리사업 처우개선 등을 추진하며 조선업 훈련장려금, 이주정착금 지원을 계속해 조선업의 인력유입도 유도할 계획이다.

 

또, 열악한 교육여건을 개선하고 청년이 머물 수 있는 동구를 만들고자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과 공교육 경비 지원 등 다양한 교육지원사업을 실시하고 마을돌봄 확대를 위해 다함께돌봄센터를 추가 설치하는 한편 청년센터를 중심으로 청년정책과 활동을 지원할 계획이다.

 

동구의 매력을 살리고 지역경제에도 기여하는 문화관광사업을 위해 슬도 아트플랫폼 운영, 슬도예술제와 대왕암 달빛문화제 개최, 일산해수욕장 관광해양특구 지정 등을 추진하며 마을관광과 골목관광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해 지역상권과도의 연계도 추진할 계획이다.

 

복지 및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동부회관과 서부회관의 공공 체육시설 전환을 마무리하고 남목 문화체육시설, 제2 파크골프장을 조성해 생활체육 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더욱 높이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확대, 장애인 자립주택 신규 개소, 여성청소년 위생용품 지원, 청소년시설 확충 이전 등 연령별, 계층별로 복지혜택이 골고루 빠짐없이 지원될 수 있도록 다양한 복지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노후된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 방어진 공동어시장 시설개선, 농민수당 지원사업 신규 추진, 환경과 관광을 접목한 환경마을 조성사업 등도 추진해 환경과 안전에 중심을 둔 도시로 가꾸어 나갈 계획이다.

 

김종훈 동구청장은 "조선업 수주는 많이 받았다지만 정작 일손은 구하지 못하고 있고, 코로나19는 그 끝이 보이지 않으며, 해를 거듭해도 지역경제는 전혀 나아지지 않고 있다. 우리를 둘러싼 모든 여건이 참으로 어렵지만 주민들의 삶을 지켜내겠다 진정성으로 최선을 다하고 있으니 많은 협조 바란다"고 말했다.

 


Kim Jong-hoon, head of Dong-gu Office, said, "We will create Dong-gu where workers are respected and workers come back, and Dong-gu where young people can stay," adding, "We will improve educational conditions, strengthen customized welfare, and promote cultural tourism projects that contribute to the local economy."

 

Kim Jong-hoon, Mayor of Dong-gu District Office, attended the 209th regular meeting held at 10:30 a.m. on November 17 and made the remarks on the direction of next year's Gu administration in a speech on the submission of the 2023 budget.

 

The Dong-gu Office cited various public jobs, youth jobs, and customized job support projects for shipbuilding retirees as achievements this year, providing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opportunities,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conversio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in Dongbu and Seobu halls.

 

In 2023, the Dong-gu Office plans to establish a basic plan to lay the foundation for local labor policies, investigate appropriate wages for women's occupations, and improve treatment of welfare job projects for the disabled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poor educational conditions and create a Dong-gu where young people can stay, various educational support projects such as fostering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and supporting public education expenses, and setting up additional care centers together to expand village care.

 

In order to revive Dong-gu's charm and contribute to the local economy, it plans to operate the Seuldo Art Platform, hold the Seuldo Art Festival and Daewangam Moonlight Culture Festival, and designate special tourist and marine zones at Ilsan Beach.

 

In order to improve welfare and settlement conditions, the government plans to provide various welfare programs by age and class, including the expansion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new self-reliant housing for the disabled, and the relocation of youth facilities.

 

It also plans to modernize old traditional market facilities, improve the common fish market facilities of Bangeojin, promote new farmers' allowance support projects, and create an environmental village that combines environment and tourism to make it an environmental and safety-oriented.

 

Kim Jong-hoon, head of Dong-gu Office, said, "We received a lot of shipbuilding orders.However, the local economy has not improved at all over the years, and COVID-19 is not in sight. All the conditions surrounding us are very difficult, but we will protect the lives of the residents. I'm doing my best with sincerity, so I hope you cooperate a lot."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