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청년정책,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만들어요!”

URL복사

중구, 청년정책협의체 역량강화 프로그램 및 정기회의 진행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지난 15일(화) 오후 7시 청년디딤터 2층 회의실에서 청년정책협의체 역량강화 프로그램 및 정기회의를 진행했다.

 

이날 제2기 청년정책협의체 위원 30명은 팀 단합 비결(팀빌딩 노하우)에 대한 강의를 듣고, 분과별로 ‘컨버스 정책발굴 기법’을 통해 다양한 청년정책을 도출한 뒤 이를 제안·발표했다.

 

이어서 열린 정기회의에서는 앞서 제안된 청년정책의 실현 가능성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제안된 청년정책은 오는 12월 말 청년정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한편 중구는 청년들의 사회 참여를 돕고 젊은 세대의 목소리를 정책에 담아내고자 지난 2019년 7월 울산 지역 최초로 울산 중구 청년정책협의체를 구성했으며, 이어서 지난해 8월 제2기 청년정책협의회를 꾸렸다.

 

제2기 청년정책협의회는 경제·사회분과, 교육·복지분과, 문화·예술분과 등 3개 분과로 나누어져 있으며, 현재 위원 30명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영길 중구청장은 “청년들이 직접 실효성 있는 청년정책을 발굴하고 이를 다듬어 완성시켜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앞으로도 청년을 포함해 누구나 살고 싶은 종갓집 중구를 만들기 위해 힘쓰겠다”고 전했다.

 


Ulsan Jung-gu District (District Mayor Kim Young-gil) held a competency-building program and regular meeting of the youth policy consultative body at 7 p.m. on the 15th (Tue) at the conference room on the second floor of the youth dimmer.

 

On this day, 30 members of the 2nd Youth Policy Consultative Group took a lecture on the secret of team unity (team building know-how) and proposed and announced various youth policies through "converse policy discovery techniques" for each division.

 

Subsequently, at the regular meeting, the feasibility of the previously proposed youth policy was examined in detail, and measures to increase completeness were discussed.

 

The proposed youth policy will be finalized after deliberation by the Youth Policy Committee at the end of December.

 

Meanwhile, Jung-gu formed the Ulsan Jung-gu Youth Policy Council for the first time in Ulsan in July 2019 to help young people participate in society and to include the voices of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policy, followed by the second Youth Policy Council in August last year.

 

The second Youth Policy Council is divided into three divisions: the Economic and Social Division, the Education and Welfare Division, and the Culture and Arts Division, and 30 members are currently engaged in various activities.

 

We will actively support young people to discover and refine effective youth policies and complete them, said Kim Young-gil, head of Jung-gu District Office. "We will continue to make efforts to create Jung-gu District, a family house that everyone wants to live in, including young people."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