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오는 17일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앞두고 코로나19 유행세가 뚜렷해자 교육부는 확진자 시험장을 늘리는 등 대응에 나섰다. 교육부는 올해 서울·경기 지역 내 별도 시험장에서 수능을 치르게 될 수험생 수가 지난해보다 20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13일 오후 4시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서울, 경기 지역 코로나19 관련 수능 준비상황 점검회의'를 영상으로 개최하고 "작년 수능의 경우 확진 및 격리 수험생의 규모는 서울 44명, 경기 36명이었으나, 올해는 이보다 20배 이상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서울·경기 부교육감과 각 교육지원청 교육장 등이 참여한 이날 회의에서는 서울·경기 지역의 안전한 수능 시행을 위한 협조 체계를 확인하고, 격리대상 수험생에 대한 지원 계획을 논의했다.
지난 11일 이후 코로나19에 확진된 수험생은 7일간 격리 대상자다. 이 경우 추가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별도 시험장과 시험실에서 수능에 응시하게 된다. 병원에 입원한 경우 의료진 관찰 아래 병원 시험장에서 시험을 치른다.
특히 서울·경기 지역은 전국 시·도 중 가장 많은 확진자가 발생하는 만큼 시험장 배치 변수 역시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수능 지원자 50만8030명 중 서울·경기 지역에 절반에 가까운 25만3388명(49.9%)이 집중돼 있다.
장 차관은 "지원자가 밀집한 서울·경기 지역은 확진 수험생의 시험장 배치, 필요시 이동 지원 등 실무적으로 확인·조치할 것이 매우 많을 것으로 안다"며 서울과 경기지역 교육청과 교육지원청에 확진 수험생 관리 체계와 지자체·유관기관과의 협업 상황을 다시 한 번 점검해줄 것을 당부했다.
교육부는 지난 3일부터 질병관리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공동상황반'을 구성해 격리대상 수험생 발생상황을 점검하고, 지자체 및 시·도 교육청 '현장관리반'을 운영하고 있다.
장 차관은 "격리대상 수험생의 응시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관내 지자체, 보건소, 병·의원, 소방서 등과 교육지원청의 협업이 중요하다"며 "수능 시행을 위한 크고 작은 일을 다시 한 번 확인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