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중구, 2023년도 예산안 4,465억 원 편성…의회 제출

URL복사

- 2022년 대비 265억 원 증액…안전망 강화·지역경제 활성화 초점

 

 

 

[시사뉴스 강성태 기자]  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4,465억 원 규모의 2023년도 예산안을 편성해 11일 중구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2022년 당초예산 대비 265억 원 증액된 규모다.

 

내년도 예산은 일반회계 4,392억 원, 특별회계 73억 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일반회계 재원은 지방세 수입 566억 원, 세외수입 178억 원, 보조금 2,676억 원 등으로 마련했다.

 

일반회계 주요 분야별 예산 편성안을 보면 사회복지 분야가 2,675억 원(60.91%)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환경 분야 196억 원(4.47%), 일반공공행정 분야 179억 원(4.0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세부적으로 사회복지분야에서는 ▲기초연금 및 노인 일자리사업 1,011억 원 ▲생계급여 243억 원 ▲보육료 지원 234억 원 ▲부모급여 88억 원 등이 반영됐다.

 

환경 분야에서는 ▲폐기물 및 재활용품 수집·운반 대행 수수료 102억 원 ▲명정천 생태하천 조성사업 13억 원 ▲저녹스 보일러 교체 지원 5억 원 등이 편성됐다.

 

일반공공행정 분야에서는 ▲범죄 분석 및 상황대응 플랫폼 구축 10억 원 ▲중구청사 안전시설 보수공사 2억 원 등이 반영됐다.

 

이 밖에도 ▲태화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36억 원 ▲위탁의료기관 예방접종 시행비 14억 원 ▲내황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13억 원 ▲병영성 정비 사업 12억 원 ▲학교급식 식품비 지원 11억 원 ▲마을교육 및 진로직업체험센터 운영 9억 원 ▲도시 소규모공원 활성화 사업 9억 원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지원 8억 원 ▲산후조리비 지원 4억 원 ▲태화강 둔치 실버파크골프장 설치 3억 원 등이 포함됐다.

 

한편 이번 예산안은 중구의회 정례회 기간 동안 각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다음 달 15일 확정될 예정이다.

 

김영길 중구청장은 “지역사회 안전망 강화 및 지역 경제 활력 회복에 초점을 두고 예산을 편성했다”며 “효율적으로 재정을 운용하며 지역 발전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Ulsan Jung-gu District (District Mayor Kim Young-gil) drew up a budget plan for 2023 worth 446.5 billion won and submitted it to the Jung-gu District Council on the 11th.

 

This is an increase of 26.5 billion won from the original budget in 2022.

 

The budget for next year consists of 439.2 billion won in general accounts and 7.3 billion won in special accounts, of which funds for general accounts are 56.6 billion won in local tax revenues, 17.8 billion won in non-tax revenues, and 267.6 billion won in subsidies.

 

According to the budget plan for each major area of general accounting, the social welfare sector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with 267.5 billion won (60.91%), followed by 19.6 billion won (4.47%) in the environment sector and 17.9 billion won (4.07%) in general public administration.

 

In detail,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 basic pension and senior job projects worth 101.1 billion won ▲ living wage of 24.3 billion won ▲ childcare fee support of 23.4 billion won ▲ parental wage of 8.8 billion won were reflected.

 

In the environmental sector, ▲ 10.2 billion won in fees for collecting and transporting waste and recyclables ▲ 1.3 billion won for the Myeongjeongcheon Ecological River Construction Project ▲ 500 million won for low-nox boiler replacement support were organized.

 

In the general public administration sector, ▲ 1 billion won for crime analysis and situation response platform construction ▲ 200 million won for repair of safety facilities at Jung-gu Office was reflected.

 

In addition, ▲ 3.6 billion won for Taehwa Natural Disaster Risk Improvement District ▲ 1.4 billion won for vaccination at consigned medical institutions ▲ 1.3 billion won ▲ 1.2 billion won for barracks ▲ 1.1 billion won for school meals ▲ 900 million won for urban small parks ▲ 800 million won for small businesses and small businesses.

 

Meanwhile, the budget plan will be finalized on the 15th of next month after deliberation by each standing committee and th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during the regular meeting of the Jung-gu Council.

 

Kim Young-gil, head of Jung-gu District Office, said, "We have drawn up a budget focusing on strengthening the community safety net and restoring local economic vitality," adding, "We will efficiently manage our finances and lead regional development."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