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시 ‘2022 대한민국 지방시대 박람회(엑스포)’참가

URL복사

11월 10일~12일,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 1․2 에이(A)홀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는 11월 10일부터 12일까지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 1․2 에이(A)홀에서 개최되는 ‘2022 대한민국 지방시대 박람회(엑스포)’에 참가해 ‘울산광역시 전시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2022 대한민국 지방시대 박람회(엑스포)’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치분권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안전부와 17개 시·도가 주최하는 행사로, ‘새로운 대한민국,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주제로 중앙과 지방의 균형발전, 지방자치 정책의 참여와 성과 공유를 위해 개최된다.

 

울산시는 이번 박람회(엑스포)에 ‘변화하는 울산, 새로 만드는 울산!’을 주제로 한 ‘울산광역시 전시관’을 마련해 균형발전 중점 정책과 지방자치 우수사례를 중점 홍보한다.

  

주요 홍보 내용은 수소트램을 통한 미래교통수단 확충과 기존 산업의 고도화·첨단화를 통한 미래산업 대응, 시와 구·군의 캐릭터를 통한 지역문화·관광산업 우수사례 등이다.

  

특히, 내년부터 울산에서 성능 검증을 위해 운행에 들어갈 수소트램의 모형 전시와 함께 울산의 도시철도 건설계획과 수소시범도시 주요시설도 같이 소개한다.

  

또 지자체의 문화나 관광지 홍보를 위해 개발된 캐릭터를 지방자치의 우수사례로 소개하며, 울산의 주요 관광지 홍보를 위해 다양한 행사(이벤트)도 진행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지방시대 박람회(엑스포)는 재미있고 살기좋은 울산 홍보를 위해 참여하게 됐다”며 “미래교통수단인 수소트램을 통한 광역교통망을 확충하고, 기존 산업의 고도화와 첨단화를 통해 미래산업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일자리가 많고, 살기좋은 산업도시 울산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한국생산성본부가 주관하는 이번 박람회(엑스포)에서는 시·도 전시관, 지방시대관과 특별관으로 구성되며, ‘지방시대’ 국정비전 공유와 의견수렴을 위한 정책 학술회의(컨퍼런스) 등 다양한 국민참여 행사가 진행되고, 공식 누리집을 통해서도 박람회를 둘러볼 수 있다.

 


Ulsan City announced that it will participate in the 2022 Korea Local Era Expo (Expo) to be held at BEXCO Exhibition Hall 1 and 2 A(A) Hall in Busan from November 10th to 12th and operate the Ulsan Metropolitan City Exhibition Hall.

  

The 2022 Korea Local Era Expo is hosted by th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Committee, the Autonomous Decentralization Committee,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17 cities and provinces.

 

Ulsan City will focus on balanced development policies and best practices of local autonomy by setting up the Ulsan Metropolitan City Exhibition Hall under the theme of Changing Ulsan, New Ulsan! at the Expo.

  

The main promotional contents include expanding future transportation means through hydrogen tram, responding to future industries by upgrading and cutting-edge existing industries, and excellent examples of local culture and tourism industries through characters from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In particular, it will introduce Ulsan's urban railway construction plan and major facilities of hydrogen pilot city along with a model exhibition of hydrogen tram that will be operated in Ulsan to verify performance from next year.

  

In addition, characters developed to promote local governments' culture and tourist attractions will be introduced as excellent examples of local autonomy, and various events (events) will be held to promote major tourist attractions in Ulsan.

  

An official from Ulsan City said, "We will participate in this expo to promote Ulsan, which is fun and livable. We will do our best to expand the wide-area transportation network through hydrogen tram, a future transportation means, and to preemptively respond to future industries through advanced and advanced industries."

  

Meanwhile, the Expo, organized by the Korea Industrial Technology Promotion Agency and the Korea Productivity Headquarters, consists of city and provincial exhibitions, local city halls, and special halls, and various public participation events such as policy conferences to share national visions and gather opinion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