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교육청, 학점제형 학교 공간 재구조화 지원사업 추진

URL복사

- 학생참여중심의 교수학습활동을 위한 다목적다기능 공용학습공간 조성
- 7년 이상 경과 교과교실제 9교 71실 운영, 14억원 규모 예산 지원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노옥희)은 고교학점제 현장 안착 지원을 위해 학점제형 학 교 공간 재구조화 사업을 추진한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학교는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다양한 선택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게 됨에 따라 다목적성과 다기능성을 갖춘 공용 학습 공간 조성이 필요하다.

 

울산교육청은 학교 현장의 요구와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관내 고등학교 9개교, 71실, 14억 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하였으며, 지난 9월 사업설명회 및 업무담당자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사업대상 공간은 7년 이상 지난 노후화된 교과교실제 학습공간과 도서관, 상담실, 회의실 등 지원공간을 대상으로 공간 활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기자재 구입비와 시설구축비를 지원한다.

 

학점제형 학교 공간 재구조화 사업은 교사와 학생 등 학교 구성원이 직접 공간 설계에 참여하는 사용자 참여 중심 설계로 진행하고, 공간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학습 공간의 유연성, 동선의 효율화 등 학점제형 학교 공간 조성 원리에 따라 구축된다.

 

울산교육청은 2025년 고교학점제 본격 시행에 대비하여 현재 함께 진행되고 있는 학점제형 교과교실제 도입과 학점제형 학교 공간 재구조화 지원사업 등을 통해 2024년까지 관내 전 일반고에 학점제형 학교공간조성을 완료할 계획임을 밝혔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점제형 학교공간재구조화 지원 사업을 통해 고교학점제의 성공적 현장안착과 미래지향적 교실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지속적으로 학생 개개인의 꿈과 자기주도적 미래역량을 키워 내는 학생 친화적 학교공간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Noh Ok-hee) will push for a project to restructure the school space of the credit system to support the settle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chools need to create a public learning space with multi-purpose and multifunctionality as various elective subjects suitable for students' career and aptitude are opened and operated.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organized a budget of KRW 1.4 billion for nine high schools, 71 rooms, and 9 schools in the jurisdic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demands and opinions from the school site, and held a business briefing and a council of people in charge in September.

 

The project target space will support the purchase of equipment and facility construction cost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space for the aging curriculum learning space and support spaces such as libraries, counseling rooms, and conference rooms that have been more than seven years.

 

The credit-based school space restructuring project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creating a credit-based school space, such as the connection between space and curriculum, flexibility of learning space, and efficiency of movement.

 

In preparation for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announced that it plans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credit-based school spaces in all general high schools by 2024.

 

"We expect to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creation of a future-oriented classroom environment through the school space restructuring project, and we will continue to create a student-friendly school space that develops each student's dreams and self-directed future capabilities," a city education office official said.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연휴 엿새째 서울 방향 정체 집중…부산→서울 8시간20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추석 연휴 엿새째이자 대체공휴일인 8일은 귀경·나들이 차량이 몰리면서 서울 방향 고속도로 곳곳에서 정체가 심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이날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은 546만대로,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동하는 차량은 33만대,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진입하는 차량은 32만대로 각각 집계됐다. 서울 방향은 오전 7~8시 정체가 시작돼 오후 5~6시 절정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다음 날 오전 1~2시 정체가 완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방 방향은 오전 9~10시부터 막히기 시작해 낮 12시와 오후 1시 사이 가장 혼잡하고 오후 7~8시 정체가 해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서울 방향 오후 5시께 가장 혼잡할 것으로 전망되며, 영동고속도로와 서해고속도로가 가장 붐비겠다. 오전 9시15분 기준 경부고속도로는 서울 방향 북천안부근~북천안 1㎞ 구간에서 막히고 있다. 부산 방향은 망향휴게소부근~천안부근 3㎞ 구간이 정체다.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양양 방향 ▲강일~남양주요금소 7㎞ ▲화도분기점부근~서종부근 2㎞에서 차량 행렬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서해안고속도로는 서울 방향 군산~통서천분기점 7㎞에서 차량이 가다 서기를 반복하고 있다. 오전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