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부산시 부경대 물리학과 학부생 논문, SCI국제학술지 게재

URL복사

-김현우 씨…국제학술지<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에 실려

 

 

[시사뉴스 정문균 기자] 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물리학과 학부생 김현우 씨(3학년)의 논문이SCI급 국제학술지<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IF: 6.37)에 실렸다.

 

김현우 씨는 이 학술지에 논문‘Hydrogen-mediated manipulation of luminescence color in single-component Eu doped CaYAlSiO4 by defect passivation’(지도교수 이승훈)을 최근 제1저자로 게재했다.

 

김 씨는 높은 효율과 안정성을 가지는 백색 형광체를 개발하기 위해 산화물 형광체에서 수소효과에 의한 형광 특성 변화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결과를 이 논문에서 제시했다.

 

그는 최근 에너지‧환경에 관한 관심이 커지면서 산화물 형광체의 효율과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는 가운데 산화물이 가진 산소 빈자리(vacancy)가 형광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수소 불순물 효과 관련 연구를 수행했다.

 

수소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시료를 제작 또는 처리하는 과정에서 화학적 환원 과정에 의해 산소 빈자리가 의도치 않게 형성되는데,김 씨는 수소 처리 과정에서 산소 빈자리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산화물 형광체에 다른 원소를 치환한 시료들을 제작해 산소 빈자리가 아닌 수소 효과에 의한 형광 특성 변화를 실험적으로 증명했다.

 

 

이승훈 교수는“이번 연구로 산화물 형광체의 형광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제어해 높은 효율의 형광체 개발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산화물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제1저자인 김현우 씨와 교신저자인 부경대 이승훈 교수(물리학과)‧오주현 연구교수(산학협력단)가 공동으로 진행했다.

 

김현우 씨는“학부생으로 연구실 생활을 빨리 시작해 부족한 점도 있었지만,교수님과 선배들의 도움으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 같다.앞으로도 함께 연구하며 지식과 성과를 나눌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A paper by Kim Hyun-woo (3rd grade), a physics student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Jang Young-soo), was published in the SCI-level international journal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IF: 6.37).

 

Kim Hyun-woo recently published his paper "Hydrogen-mediation of luminosity color in single-component Eudoped CaYAlSiO4 by perfect passivation" as the first author in the journal.

 

In this paper, Kim presented the results of a systematic study on the changes in fluorescence properties by hydrogen effects in oxide phosphors to develop white phosphors with high efficiency and stability.

 

He recently conducted a study on the effect of hydrogen impurities as the oxygen vacancies of oxides greatly affect fluorescence properties amid research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oxide phosphors due to growing interest in energy and environment.

 

Oxygen vacancies are unintentionally formed by chemical reduction processes to observe hydrogen effects. Kim experimentally proved changes in fluorescence properties due to hydrogen effects, not oxygen vacancies, by producing samples substituted with other elements in oxide phosphors to prevent oxygen vacancies from forming during hydrogen treatment.


Professor Lee Seung-hoon said,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research various functional oxides as well as develop high-efficiency phosphors by understanding and controlling the fluorescent properties of oxide phosphors."

 

The study was jointly conducted by the first author, Kim Hyun-woo, and corresponding authors, Professor Lee Seung-hoon (Physics Department) and Professor Oh Joo-hyun (Academic Cooperation Group).

 

Kim Hyun-woo said, "I started my lab life as an undergraduate quickly, so there were some shortcomings, but I think I was able to achieve good results with the help of professors and seniors."We will continue to research together and make efforts to share knowledge and achievements," he said.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예술을 통해 배우고 연결되다...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송형종)은 오는 18일(화)부터 22일(토)까지 한 주간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5개 권역별 센터에서 ‘2025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예술, 또 다른 세상을 잇다’를 주제로 예술교육 전문가, 예술가, 시민이 한자리에 모여 예술을 통해 배우고 연결되는 다양한 경험을 나누는 자리다. 올해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은 권역별 문화예술교육 센터들의 대표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확산하고, 서울 전역의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 행사 주간 동안에는 5개 권역별 센터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상설 체험 프로그램과 장르별 특성을 담은 총 37개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펼쳐질 예정이다. 특히 시설 개선 공사를 마치고 오는 18일(화)부터 운영을 재개하는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서초에서는 이번 행사 주간을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그동안 5개 권역별 센터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던 21개의 대표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현우 교수의 ‘셰익스피어 이야기’ △서의철x박다울의 ‘거문고 이야기’ △김찬용 도슨트의 ‘한번쯤은 서양미술사: 입체주의부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스포트라이트 받는 주인공 뒤에 숨은 조력자를 기억하자
지난 14일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한국과 파라과이의 축구 평가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단연 오현규였다. 그는 후반 30분 승리에 쐐기를 박는 결정적인 골을 넣으며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그러나 그 골의 배후에는 수비수 두 명을 제치는 현란한 드리블 후 냉정히 경기의 흐름을 읽고 찬스를 만들어낸 또 다른 주인공이 있었다. 바로 이강인이다. 그는 전방으로 빠르게 침투한 오현규에게 정확한 타이밍의 패스를 연결해 골의 90%를 만들어 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경기가 끝난 후 조명은 오직 골을 넣은 선수에게만 쏟아졌고, 이강인의 이름은 짤막이 언급되었다. 지난 21일 한국프로야구 2025 플레이오프 한화 대 삼성의 3차전에서 한화가 5대4로 역전승을 거둔 뒤, 단연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구원투수로 나와 4이닝 무실점으로 역투한 문동주였다. 그런데 사실 한화가 역전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상대적으로 어린 문동주를 노련한 투수 리드로 이끌어간 최재훈 포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기가 끝난 후 역투한 문동주와 역전 투런 홈런을 친 노시환만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최재훈의 이름은 언급조차 없다. 이러한 장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