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부산시 동남권 반도체 함께 키운다

URL복사

27일 오전 부산대에서 반도체산업 발전전략 워크숍 및 MOU 체결
대학·학회 ‘맞손’ 부산대-UNIST-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협약 체결

[시사뉴스 정문균 기자] 부산대학교(총장 차정인)는 부산대 공과대학(학장 최재원)이 UNIST 공과대학(학장 김성엽),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회장 박재근·한양대 교수)과 함께 ‘반도체 분야 산업 발전 및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27일 오전 부산대 제10공학관 산업CEO강의실에서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세 기관은 ▲부산‧울산‧경남 지역 차량용 반도체 산업의 발전 ▲반도체 분야 정부 및 지자체 재정지원사업 추진 ▲반도체 분야 공동 교육과 연구 ▲반도체 분야 인프라 구축 및 활용 등에 상호 협력함으로써 세 기관뿐만 아니라 국가와 지역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MOU 체결에 앞서 반도체산업 발전전략 워크숍이 개최됐다. 부산시 신창호 디지털경제혁신실 미래산업국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한국전기연구원 방욱 전력반도체사업단장의 초청강연과 부산대 반도체 분야 발전전략 발표(이성식 부산대 전자공학과 교수), UNIST 반도체 소재·부품대학원의 비전 소개(정홍식 UNIST 반도체·소재부품대학원장) 순으로 진행됐다.

 

부산대 공과대학은 반도체 분야 발전전략 발표에서 부산대 반도체 인력양성 전략방향을 차량용반도체 분야로 설정하고 부산시 지역산업과 연계해 추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부산시는 2013년부터 반도체 관련 주력분야로 파워반도체를 선정하고, 동남권을 차량용 반도체(파워반도체 포함) 특화지역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파워반도체는 차량용반도체의 핵심부품으로 자율주행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라 추후 Level 3 자율주행 전기차의 경우 대당 약 2,000개 이상의 반도체가 소요돼 해마다 시장규모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대는 이번 협약을 통해 파워반도체 및 차량에 쓰이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에 강점을 갖고 있는 부산대 공과대학과 반도체 소재에 강점을 가진 UNIST 공과대학, 그리고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의 정책·기술자문으로 동남권역 반도체산업을 활성화시키고 정부의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 정책에도 적극적으로 대응 및 협력할 것이라고 의지를 다졌다.

 


[Reporter Chung Moon-kyun] Pusan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Cha Jeong-in) announced on the morning of the 27th that Pusan National University's engineering college (President Choi Jae-won) signed an agreement with UNIST's engineering college (President Kim Sung-yeop) and the Korea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Association (Chairman Park Jae-geun, Hanyang University).

 

Under the agreement, the three organizations will work together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ot only the three organizations but also the national and regional industries by cooperating in the development of ▲ development of automotive semiconductor industrie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At the event, a workshop on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was held before the MOU was signed. Starting with a congratulatory speech by Shin Chang-ho, director of the Future Industry Division of the Digital Economy Innovation Office in Busan, Bang Wook, head of the Korea Electrical Research Institute, presented strategies for semiconductor development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Electronics Engineering Professor,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introduced the vision of UNIST Semiconductor and Material Parts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Technology announced its ambition to set Busan National University's semiconductor manpower training strategy direction as a vehicle semiconductor field and promote it in connection with Busan's local industry.

 

Since 2013, the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has selected power semiconductors as its main field related to semiconductors and is striving to develop the southeastern region into a specialized area for automotive semiconductors (including power semiconductors). Power semiconductors are key components of automotive semiconductors, and as the self-driving electric vehicle market expands, the market size of Level 3 self-driving electric vehicles is expected to grow significantly every year as more than 2,000 semiconductors are required.

 

Through this agreement,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which has strengths in power semiconductor and micro controller unit (MCU), and UNIST University, which has strengths in semiconductor materials, and Korea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Association, will actively respond to and cooperate with the government's policie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방송3법·노란봉투법, 여당 주도로 국회 법사위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방송3법(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과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이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했다. 국회 법사위는 1일 전체회의를 열고 방송3법과 노란봉투법을 여당 주도로 의결했다. 이춘석 법사위원장은 방송3법에 대한 질의응답이 진행되는 중 국회법에 따라 토론을 중단시키자는 민주당 측의 제안을 받아들여 곧바로 방송3법 개정안을 표결에 부쳤다. 이에 국민의힘 의원들은 "무슨 토론 종료냐" "이렇게 진행하는 게 어디 있느냐"라며 항의했다. 국민의힘 간사인 박형수 의원은 "몇 시간을 준비한 토론 절차를 생략하면 국회랑 의회는 왜 있나. 헌법재판소 판결에도 소수의 의견 표명 기회가 있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 상황에 대해 법사위원장이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곽규택 국민의힘 의원이 일방적인 법안 상정과 발언 기회 박탈을 놓고 지속적으로 항의하자, 이 법사위원장이 "회의장 질서를 어지럽혔다"며 한때 퇴장을 요구하기도 했다. 방송3법은 KBS·MBC·EBS 공영방송 이사 수를 확대하고 이사 추천 주체를 늘리는 내용이 골자다. 노란봉투법은 '사용자'의 개념을 근로계약 체결 당사

경제

더보기
IBK기업은행, 창립 64주년 기념식 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IBK기업은행은 1일 창립 64주년을 맞아 서울 중구 기업은행 본점에서 임직원 약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64주년 기념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김성태 은행장은 중소기업을 향한 사명감과 진심을 원동력으로 성장해 온 기업은행의 역사를 돌아보며 글로벌 초일류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한 도전과제를 밝혔다. 김 행장은 “특히 올해 전례 없는 각종 위기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정책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면서, 미국 발 관세위기 등 대내외 위기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중기대출 지원으로 중기금융 역대 최대 점유비를 달성하는 한편, 소상공인의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상생금융을 적극 실천한 직원들의 노고를 치하했다. 아울러 ‘하남데이터센터 이전’과 ‘나라사랑카드 3기 사업 유치’ 등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사업자등록 원스톱 서비스’, ‘AI 기술을 활용한 보이스피싱 탐지기술 도입’ 등을 통해 고객가치를 최우선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한 것도 그간의 주요 성과로 꼽았다. 이어 “불확실성의 위기가 심화할수록 변하지 않는 가치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고객을 향한 진실 되고 선한 마음으로 고객의 가치를 높이는 혁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KNSO아카데미 ‘컬러풀’ 공연... 지휘자 크리스토프 포펜 협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예술감독 다비트 라일란트)는 오는 8월 20일(수)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KNSO아카데미 5기 청년 교육단원들의 성과를 담은 무대 ‘컬러풀’을 선보인다. KNSO아카데미는 클래식 음악의 다양한 무대 경험과 실무 교육을 통해 균형 잡힌 역량을 갖춘 차세대 음악가를 양성하는 실전형 교육 프로그램으로,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가 2020년부터 운영해오고 있다. 올해 초 통합 공모를 통해 교육단원 60명이 선발됐다. 4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입단한 이들은 국립심포니뿐 아니라 파리 오케스트라와 베를린 방송교향악단 등 내한한 세계 유수 교향악단의 단원들과 솔리스트들의 마스터클래스를 통해 국제적인 수준의 밀도 높은 교육을 받았다. 또한 올해 총 14회의 실내악 및 지역 공연에 참여하며 무대 경험과 앙상블 역량을 실전에서 체득할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이들이 상반기 동안 갈고닦은 성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자리로, 현대음악, 협주곡, 교향곡을 아우르며 단원들의 음악적 스펙트럼과 가능성을 보여준다. 공연의 포문은 김은성 작곡가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만화경’이 연다. 2023년 ‘작곡가 아틀리에’ 우수작으로 선정된 이 작품은 국립심포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