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부산시 더욱 다채로운 내용으로 가득한 컨퍼런스, ‘BOUNCE 2022’개최!

URL복사

스타트업 축제‘BOUNCE 2022’, 11월 24일 ~ 25일 부산 BEXCO에서 개최

[시사뉴스 정문균 기자] (재)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송용준, 이하 부산센터)는 ‘BOUNCE 2022(이하, BOUNCE)’를 오는 11월 24일부터 25일까지 2일간 부산 BEXCO 제2전시장에서 개최 한다고 밝혔다.

 

부산 최대 글로벌 스타트업 컨퍼런스이자 스타트업 축제인 ‘BOUNCE’는 2017년을 시작으로 매년 성황리에 개최 되었다. 지난 5년간 약 4만명의 참관객과 1,000여명의 스타트업, 110여명의 초청연사, 400여명의 투자사, 60개가 넘는 나라에서 참여했으며 250여건의 비즈니스 상담과 150여개의 스타트업이 IR 피칭을 하고 스타트업 전시 부스를 통해 국내·외 우수한 스타트업 아이템을 350여건 전시하고 홍보하였다.

 

올해 6회째로 개최되는 ‘BOUNCE 2022’ 는 Start-up B.P.M (Business, Party, Meet-up)을 슬로건으로 국내·외 (예비)스타트업, 투자자, 창업지원 관계자, 대학생,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창업 생태계, 기술 트렌드, 혁신사례 등 주제 강연 ▲투자를 받기 위해 투자사 앞에서 스타트업 아이템을 발표하는 IR 피칭 릴레이 ▲스타트업-투자사 간 매칭을 통한 투자 상담회 ▲온·오프라인 스타트업 아이템 전시 ▲밋업존 및 임팩트존, 행사 현장 참가 스탬프 등 창업에 관심 있는 누구나 와서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올해는 부산시가 주최하는 아시아 창업 엑스포 ‘플라이 아시아(FLY ASIA) 2022’와 함께 개최하여 부산시가 아시아 창업 허브 도시로 발돋움 할 수 있는 초석을 만듬과 동시에 아시아 최대 창업축제로 나아갈 수 있도록 발걸음을 함께 할 예정이다.

 

또한, 지난 2년간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행사를 진행했던 것과 달리 올해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BOUNCE’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부산센터 박기쁨 PM은 “‘BOUNCE’가 아시아 대표 스타트업 축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앞으로 더욱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며, "이 행사를 통해 많은 스타트업들이 투자를 지원받고 판로를 개척하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Reporter Jung Moon-kyun] (Re) Busan Center for Creative Economy and Innovation (Director Song Yong-jo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usan Center) announced that "BOUNCE 2022" will be held at BEXCO Exhibition Hall 2 in Busan for two days from November 24th to 25th.

 

BOUNCE, Busan's largest global startup conference and startup festival, was held every year successfully, starting in 2017. Over the past five years, about 40,000 visitors, 1,000 startups, 110 invited speakers, 400 investors, and more than 60 countries participated, and 250 business consultations and 150 startups pitched IR and displayed and promoted 350 excellent domestic and foreign startup items through startup exhibition booths.

 

This year's 6th "BOUNCE 2022" will be held under the slogan Start-up B.P.M (Business, Party, Meet-up) and will be held for domestic and foreign start-ups, investors, start-up support officials,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 On-site lectures such as start-up ecosystem, technology trends, innovation cases, etc. ▲ IR-on-stamping events that will be held in front of investment ▲Collaborative organizations and partners with "BOUNCE" include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Busan Techno Park, Busan Entrepreneurship Agency, Lotte Ventures, Korea Startup Forum, Dong-A University, Dongseo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Handong University, Asan Foundation, Ulsan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Korea Accelerator Association, Korea Investment Association, Korea. There are Series Ventures and Smart Palmer.

 

In particular, this year, it will be held together with the Asian Startup Expo "FLY ASIA 2022" hosted by Busan City to create a cornerstone for Busan City to become an Asian startup hub city and move on to Asia's largest startup festival.

 

In addition, unlike the event held online due to COVID-19 over the past two years, offline participation is possible this year, and details can be found on the "BOUNCE" website.

 

"We plan to further develop 'BOUNCE' so that it can become Asia's leading startup festival," said Park Ki-mi, PM of the Busan Center. "We hope this event will be a good opportunity for many startups to receive investment support and pioneer a market."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방송3법·노란봉투법, 여당 주도로 국회 법사위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방송3법(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과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이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했다. 국회 법사위는 1일 전체회의를 열고 방송3법과 노란봉투법을 여당 주도로 의결했다. 이춘석 법사위원장은 방송3법에 대한 질의응답이 진행되는 중 국회법에 따라 토론을 중단시키자는 민주당 측의 제안을 받아들여 곧바로 방송3법 개정안을 표결에 부쳤다. 이에 국민의힘 의원들은 "무슨 토론 종료냐" "이렇게 진행하는 게 어디 있느냐"라며 항의했다. 국민의힘 간사인 박형수 의원은 "몇 시간을 준비한 토론 절차를 생략하면 국회랑 의회는 왜 있나. 헌법재판소 판결에도 소수의 의견 표명 기회가 있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 상황에 대해 법사위원장이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곽규택 국민의힘 의원이 일방적인 법안 상정과 발언 기회 박탈을 놓고 지속적으로 항의하자, 이 법사위원장이 "회의장 질서를 어지럽혔다"며 한때 퇴장을 요구하기도 했다. 방송3법은 KBS·MBC·EBS 공영방송 이사 수를 확대하고 이사 추천 주체를 늘리는 내용이 골자다. 노란봉투법은 '사용자'의 개념을 근로계약 체결 당사

경제

더보기
IBK기업은행, 창립 64주년 기념식 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IBK기업은행은 1일 창립 64주년을 맞아 서울 중구 기업은행 본점에서 임직원 약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64주년 기념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김성태 은행장은 중소기업을 향한 사명감과 진심을 원동력으로 성장해 온 기업은행의 역사를 돌아보며 글로벌 초일류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한 도전과제를 밝혔다. 김 행장은 “특히 올해 전례 없는 각종 위기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정책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면서, 미국 발 관세위기 등 대내외 위기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중기대출 지원으로 중기금융 역대 최대 점유비를 달성하는 한편, 소상공인의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상생금융을 적극 실천한 직원들의 노고를 치하했다. 아울러 ‘하남데이터센터 이전’과 ‘나라사랑카드 3기 사업 유치’ 등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사업자등록 원스톱 서비스’, ‘AI 기술을 활용한 보이스피싱 탐지기술 도입’ 등을 통해 고객가치를 최우선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한 것도 그간의 주요 성과로 꼽았다. 이어 “불확실성의 위기가 심화할수록 변하지 않는 가치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고객을 향한 진실 되고 선한 마음으로 고객의 가치를 높이는 혁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KNSO아카데미 ‘컬러풀’ 공연... 지휘자 크리스토프 포펜 협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예술감독 다비트 라일란트)는 오는 8월 20일(수)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KNSO아카데미 5기 청년 교육단원들의 성과를 담은 무대 ‘컬러풀’을 선보인다. KNSO아카데미는 클래식 음악의 다양한 무대 경험과 실무 교육을 통해 균형 잡힌 역량을 갖춘 차세대 음악가를 양성하는 실전형 교육 프로그램으로,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가 2020년부터 운영해오고 있다. 올해 초 통합 공모를 통해 교육단원 60명이 선발됐다. 4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입단한 이들은 국립심포니뿐 아니라 파리 오케스트라와 베를린 방송교향악단 등 내한한 세계 유수 교향악단의 단원들과 솔리스트들의 마스터클래스를 통해 국제적인 수준의 밀도 높은 교육을 받았다. 또한 올해 총 14회의 실내악 및 지역 공연에 참여하며 무대 경험과 앙상블 역량을 실전에서 체득할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이들이 상반기 동안 갈고닦은 성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자리로, 현대음악, 협주곡, 교향곡을 아우르며 단원들의 음악적 스펙트럼과 가능성을 보여준다. 공연의 포문은 김은성 작곡가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만화경’이 연다. 2023년 ‘작곡가 아틀리에’ 우수작으로 선정된 이 작품은 국립심포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