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부산시 더욱 다채로운 내용으로 가득한 컨퍼런스, ‘BOUNCE 2022’개최!

URL복사

스타트업 축제‘BOUNCE 2022’, 11월 24일 ~ 25일 부산 BEXCO에서 개최

[시사뉴스 정문균 기자] (재)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송용준, 이하 부산센터)는 ‘BOUNCE 2022(이하, BOUNCE)’를 오는 11월 24일부터 25일까지 2일간 부산 BEXCO 제2전시장에서 개최 한다고 밝혔다.

 

부산 최대 글로벌 스타트업 컨퍼런스이자 스타트업 축제인 ‘BOUNCE’는 2017년을 시작으로 매년 성황리에 개최 되었다. 지난 5년간 약 4만명의 참관객과 1,000여명의 스타트업, 110여명의 초청연사, 400여명의 투자사, 60개가 넘는 나라에서 참여했으며 250여건의 비즈니스 상담과 150여개의 스타트업이 IR 피칭을 하고 스타트업 전시 부스를 통해 국내·외 우수한 스타트업 아이템을 350여건 전시하고 홍보하였다.

 

올해 6회째로 개최되는 ‘BOUNCE 2022’ 는 Start-up B.P.M (Business, Party, Meet-up)을 슬로건으로 국내·외 (예비)스타트업, 투자자, 창업지원 관계자, 대학생,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창업 생태계, 기술 트렌드, 혁신사례 등 주제 강연 ▲투자를 받기 위해 투자사 앞에서 스타트업 아이템을 발표하는 IR 피칭 릴레이 ▲스타트업-투자사 간 매칭을 통한 투자 상담회 ▲온·오프라인 스타트업 아이템 전시 ▲밋업존 및 임팩트존, 행사 현장 참가 스탬프 등 창업에 관심 있는 누구나 와서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올해는 부산시가 주최하는 아시아 창업 엑스포 ‘플라이 아시아(FLY ASIA) 2022’와 함께 개최하여 부산시가 아시아 창업 허브 도시로 발돋움 할 수 있는 초석을 만듬과 동시에 아시아 최대 창업축제로 나아갈 수 있도록 발걸음을 함께 할 예정이다.

 

또한, 지난 2년간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행사를 진행했던 것과 달리 올해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BOUNCE’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부산센터 박기쁨 PM은 “‘BOUNCE’가 아시아 대표 스타트업 축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앞으로 더욱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며, "이 행사를 통해 많은 스타트업들이 투자를 지원받고 판로를 개척하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Reporter Jung Moon-kyun] (Re) Busan Center for Creative Economy and Innovation (Director Song Yong-jo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usan Center) announced that "BOUNCE 2022" will be held at BEXCO Exhibition Hall 2 in Busan for two days from November 24th to 25th.

 

BOUNCE, Busan's largest global startup conference and startup festival, was held every year successfully, starting in 2017. Over the past five years, about 40,000 visitors, 1,000 startups, 110 invited speakers, 400 investors, and more than 60 countries participated, and 250 business consultations and 150 startups pitched IR and displayed and promoted 350 excellent domestic and foreign startup items through startup exhibition booths.

 

This year's 6th "BOUNCE 2022" will be held under the slogan Start-up B.P.M (Business, Party, Meet-up) and will be held for domestic and foreign start-ups, investors, start-up support officials,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 On-site lectures such as start-up ecosystem, technology trends, innovation cases, etc. ▲ IR-on-stamping events that will be held in front of investment ▲Collaborative organizations and partners with "BOUNCE" include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Busan Techno Park, Busan Entrepreneurship Agency, Lotte Ventures, Korea Startup Forum, Dong-A University, Dongseo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Handong University, Asan Foundation, Ulsan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Korea Accelerator Association, Korea Investment Association, Korea. There are Series Ventures and Smart Palmer.

 

In particular, this year, it will be held together with the Asian Startup Expo "FLY ASIA 2022" hosted by Busan City to create a cornerstone for Busan City to become an Asian startup hub city and move on to Asia's largest startup festival.

 

In addition, unlike the event held online due to COVID-19 over the past two years, offline participation is possible this year, and details can be found on the "BOUNCE" website.

 

"We plan to further develop 'BOUNCE' so that it can become Asia's leading startup festival," said Park Ki-mi, PM of the Busan Center. "We hope this event will be a good opportunity for many startups to receive investment support and pioneer a market."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예술을 통해 배우고 연결되다...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송형종)은 오는 18일(화)부터 22일(토)까지 한 주간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5개 권역별 센터에서 ‘2025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예술, 또 다른 세상을 잇다’를 주제로 예술교육 전문가, 예술가, 시민이 한자리에 모여 예술을 통해 배우고 연결되는 다양한 경험을 나누는 자리다. 올해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은 권역별 문화예술교육 센터들의 대표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확산하고, 서울 전역의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 행사 주간 동안에는 5개 권역별 센터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상설 체험 프로그램과 장르별 특성을 담은 총 37개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펼쳐질 예정이다. 특히 시설 개선 공사를 마치고 오는 18일(화)부터 운영을 재개하는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서초에서는 이번 행사 주간을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그동안 5개 권역별 센터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던 21개의 대표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현우 교수의 ‘셰익스피어 이야기’ △서의철x박다울의 ‘거문고 이야기’ △김찬용 도슨트의 ‘한번쯤은 서양미술사: 입체주의부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스포트라이트 받는 주인공 뒤에 숨은 조력자를 기억하자
지난 14일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한국과 파라과이의 축구 평가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단연 오현규였다. 그는 후반 30분 승리에 쐐기를 박는 결정적인 골을 넣으며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그러나 그 골의 배후에는 수비수 두 명을 제치는 현란한 드리블 후 냉정히 경기의 흐름을 읽고 찬스를 만들어낸 또 다른 주인공이 있었다. 바로 이강인이다. 그는 전방으로 빠르게 침투한 오현규에게 정확한 타이밍의 패스를 연결해 골의 90%를 만들어 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경기가 끝난 후 조명은 오직 골을 넣은 선수에게만 쏟아졌고, 이강인의 이름은 짤막이 언급되었다. 지난 21일 한국프로야구 2025 플레이오프 한화 대 삼성의 3차전에서 한화가 5대4로 역전승을 거둔 뒤, 단연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구원투수로 나와 4이닝 무실점으로 역투한 문동주였다. 그런데 사실 한화가 역전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상대적으로 어린 문동주를 노련한 투수 리드로 이끌어간 최재훈 포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기가 끝난 후 역투한 문동주와 역전 투런 홈런을 친 노시환만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최재훈의 이름은 언급조차 없다. 이러한 장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