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5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교육청, 부모와 자녀가 함께하는 독서드림캠프 개최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노옥희)은 다양한 책 읽기 독서활용법으로 책과 친숙해지는 독서 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부모와 자녀가 함께하는 독서드림캠프’를 개최했다.

 

캠프는 경주 화랑마을 캠핑장에서 지난 22 ~ 23일까지 공공도서관 이용가족 30팀 116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주요 내용은 하브루타 슬로우 리딩 독서하기, 밥상머리 하브루타 독서, 독서토론 및 작은 논술대회, 창의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 함양, 독서 체험활동과 캠핑 화폐를 이용한 우리 가족 식사 마련, 텐트에서 가족과 1박, 우리 가족만의 스토리 만들기 등 자유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이번 행사는 가족과 함께 하는 독서캠핑으로 책을 가까이하는 독서습관과 가족 간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소통하는 계기가 되었다.

 

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독서캠프 참여로 코로나로 지친 일상을 다시 회복하는 전환점이 되었기를 기대하며, 공공도서관을 통한 차별화된 독후 프로그램 운영으로 독서토론 문화가 자연스럽게 정착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 나갈 것이다”고 하였다.

 


[Reporter Jung Yoon-chul]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Noh Ok-hee) held a "Reading Dream Camp with Parents and Children" to create a reading atmosphere that becomes familiar with books through various methods of reading and reading.

 

The camp was held at the Hwarang Village Camping Site in Gyeongju for 116 family members of 30 teams using public libraries from the 22nd to the 23rd.

 

The main contents consisted of free activities such as reading Habruta slow reading, tabletop Habruta reading, reading discussion and small essay contests, cultivating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reative thinking, preparing a family meal using reading activities and camping currency, staying overnight with family in a tent, and making our own story.

 

This event was a reading camping with family, which served as an opportunity to form and communicate with family members and reading habits close to books.

 

An official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said, "We hope that participation in the reading camp will serve as a turning point to recover our daily lives tired of COVID-19, and we will create an atmosphere for the culture of reading discussion to be established naturally by operating differentiated reading programs through public librarie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