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 남구, 5,023가구에 탄소포인트제 인센티브 지급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 남구(서동욱 남구청장)는 2021년 하반기 에너지사용량을 감축해 탄소중립생활실천에 기여한 탄소포인트제 참여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인센티브 대상은 탄소포인트제에 참여하고 있는 1만 508가구(9월 말 기준) 중 5,023가구로 금액은 총 5천815만원이다. 서동욱 남구청장은 "많은 구민들이 탄소포인트제에 가입 생활 속 온실가스 감축 실천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에 적극 동참해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남구는 4,902가구에 현금으로 5천 686만원, 그린카드 포인트로 72가구 79만원, 울산페이로 36가구 35만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기부를 희망한 13가구의 인센티브 15만원은 울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탁할 예정이다.

탄소포인트제는 가정에서 과거 2년간의 월평균 사용량 대비 5%이상 에너지 사용량을 감축한 가구에 현금(계좌입금), 울산페이, 그린카드 포인트, 기부 중 참여자가 선택한 방법으로 연 2회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Ulsan Nam-gu District (Nam-gu District Mayor Seo Dong-wook) announced on the 20th that it will provide incentives to participants in the carbon point system that contributed to the practice of carbon neutral life by reducing energy use in the second half of 2021.

 

This incentive target is 5,023 out of 10,508 households (as of the end of September) participating in the carbon point system, with a total amount of 58.15 million won. Seo Dong-wook, head of Nam-gu District Office, said, "We hope that many residents will actively participate in realizing carbon neutrality through the practice of reducing greenhouse gases in their membership."

 

Nam-gu plans to pay KRW 56.86 million in cash to 4,902 households, KRW 790,000 for 72 households with green card points, and KRW 350,000 for 36 households with Ulsan Pay.

 

Incentives of KRW 150,000 from 13 households who wish to donate will be donated to the Ulsan Community Chest of Korea.

 

The carbon point system provides incentives twice a year to households who have reduced their energy use by more than 5% compared to the average monthly usage of the past two years by cash (account deposits), Ulsan Pay, Green Card Points, and donation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