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주군, 2022년 우수시책 4건 선정

URL복사

최우수 ‘회야강변 벚꽃길 경관조명 설치사업’ 등 4건 시상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 울주군이 20일 지역 발전과 군민 복지를 선도할 수 있는 군민 체감형 우수시책 4건을 선정해 시상했다.

 

올해 우수시책 선정은 기존 대면 발표회 방식이 아닌 서면심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평가의 내실을 기하기 위해 내·외부 심사위원 심사와 주민 참여 국민생각함 투표, 공무원 설문조사 등 다양한 평가를 취합해 최종 선정했다.

 

선정 결과, ‘회야강변 벚꽃길 경관조명 설치사업(도로과 강희환)’이 최우수상을 수상했으며, ‘남창역 역세권개발을 위한 기본구상 시행(도시과 최지욱)’이 우수상으로 뒤를 이었다. 장려상에는 ‘어린이보호구역 키즈스테이션 설치(교통정책과 조재호)’와 ‘울주 공공산후조리원 건립(기획예산실 변종현)’ 등 2건이 각각 선정됐다.

 

이순걸 울주군수는 “바쁜 업무에도 불구하고 우수시책 발굴을 위해 노력해 준 직원들에게 감사드린다”며 “선정된 우수시책들이 실제로 군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향후 사업 추진에도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Ulju-gun, Ulsan-si, selected and awarded four excellent policies that can lead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welfare of the county residents on the 20th.

 

This year's selection of excellent policies was conducted in a written review method, not a conventional face-to-face presentation method.

 

In order to ensure the internal stability of the evaluation, various evaluations such as internal and external judges' screening, voting on the people's thoughts participating in th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a survey of public officials were collected and selected.

 

As a result of the selection, the cherry blossom road landscape lighting installation project along the Hoeya River (Road and Kang Hee-hwan) won the grand prize, follow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basic initiative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mchang Station area (City and Choi Ji-wook). Two of the prizes were selected, "Installation of a Kids Station in a Children's Reservation Area (Transportation Policy and Cho Jae-ho)" and "Building a Ulju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Planning and Budget Office Byun Hyun)."

 

Lee Soon-gul, head of Ulju County, said, "I would like to thank the employees for their efforts to find excellent policies despite their busy work. Please do your best to promote future projects so that the selected excellent policies can actually lead to changes and innovation."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