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부산시 ‘피란수도 부산’에 세계 석학들 모여 「유엔과 한국전쟁 국제 컨퍼런스」 개최

URL복사

부산대 통일한국연구원 21~24일 4일간 포럼·학술대회…기조강연, 11개 세션 논문 발표

[시사뉴스 정문균 기자] 부산대학교 통일한국연구원(원장 김기섭·사학과 교수)은 10월 21일부터 24일까지 4일간 교내 대학본부와 인덕관 등에서 국내외 석학과 주요인사 등 100여 명이 참석하는 「‘유엔과 한국전쟁’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세계 역사에서 한국전쟁과 유엔(UN)의 관계는 평화·자유·번영을 향한 유엔의 가치를 전 인류에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남아 있다. 한국전쟁은 유엔이 창설(1945) 이후 처음으로 참전한 전쟁이다. 회원국 16개국에서 군인을 파견했고, 6개국에서는 의료지원을 했다. 우리나라는 7월 27일 정전이 협정된 날을 법정기념일인 ‘유엔군 참전의 날’로 정해 UN 참전용사의 희생과 공헌을 기리고 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동아시아, 특히 한반도의 지정학적 긴장이 이어진 한국전쟁(1950~1953)은 정치적 국제관계, 근현대 역사적 의미, 전후 복구와 경제·사회 발전, 70년이 넘은 분단국가로서 한반도의 통일과 평화과제 등 연구 가치가 매우 높다.

 

이번 국제 컨퍼런스는 ‘유엔과 한국전쟁의 관계, 유엔과 참전국들의 관계는 무엇이었을까?’, ‘이로 인한 정치적·국제적 이슈는 무엇이며 전쟁이 국제적으로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 ‘전쟁을 겪은 군인과 그 가족, 한국인들은 나름의 전쟁서사를 가지고 있는가?’ 등과 같이 개인과 그룹 또는 국가의 다양한 사례 연구를 통해 '잊혀진 전쟁'에 대한 유엔의 관계를 탐구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역사, 정치, 인류학, 사회학, 전쟁전략, 인간운동, 의학, 난민, 포로, 부산학, 통일정책, 교육, 인권 등 다양한 학제적 접근이 이뤄질 전망이다.

 

무엇보다 이번 학술행사는 미국·영국·호주·독일·프랑스·러시아·중국·이란·일본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참가한 학자들이 이념과 정치를 떠나 학문적 기반으로서 유엔과 한국전쟁에 대한 다양한 연구논문을 발표하는 국제 학술대회 자리여서 국내 개최로는 이례적이며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첫날인 21일은 컨퍼런스 포럼이 열린다. 캐서린 레이퍼 주한 호주 대사, 앤드류 해리슨 UN군 부사령관, 앤드류 허럽 주한 미국 부대사의 강연이 있을 예정이다.

 

캐서린 레이퍼 호주대사는 ‘전우에서 사회, 문화, 경제 등의 포괄적 전략 파트너로서 호주와 한국’을 주제로 긴밀한 파트너십을 강조하고, 앤드류 해리슨 UN군 부사령관은 한국전쟁 이후 여전히 도전받고 있는 세계질서와 오늘날 한반도의 군사적 정세 및 국제적 파트너십 등을 강연할 예정이다.

 

포럼에서는 차정인 부산대 총장의 환영사와 함께 부산광역시에서도 참가해 피란수도 부산의 유네스코 등재와 2030 엑스포를 통한 평화도시 부산을 알릴 계획이다.

 

22일과 23일은 컨퍼런스 학술대회가 열린다. 2명의 기조강연과 11개 세션 32개 연구논문 발표 등이 진행된다.

 

 

첫날 기조강연은 스티브 케이시 영국 런던정경대학 교수의 ‘한국전쟁 : 미국의 관점’으로, 미국인들의 한국전쟁 대응과 미국의 엘리트·정부·의회·언론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 등에 대한 흥미로운 내용이 소개된다.

 

기조강연 둘째 날에는 제임스 매트래이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 교수가 ‘미션 완료 : 유엔과 한국전쟁 휴전’을 주제로 발표한다. 유엔 창설 이후 한국전쟁에서의 역할과 유엔의 한국전쟁 참전이 효과적인 집단안보였는가에 대한 상반된 의견 등이 선보일 전망이다.

 

또, 22일과 23일 이틀간 11개 세션에서 20여 개국의 연구논문 32편이 발표된다. 세션 주제는 ▲ 한국전쟁에 대한 유엔의 정책 ▲ 전쟁 피해자의 서사 ▲ 포로와 피란민 이동 ▲ 전쟁전략과 전투 ▲ 잘 알려지지 않은 한국전쟁 참전용사들 이야기 ▲ 인권과 복지 ▲ 통일과 평화과정의 이론과 방법▲한반도의 유엔 SDGs 등이다.

 

11개 세션 후에는 발표된 논문 중 2편을 선정해 학술상과 연구상을 시상하고, 추후 우수논문을 추려 영국 출판사와 논문집을 발간할 예정이다.

 

24일 마지막 날은 ‘유엔의 날’로서 국제 컨퍼런스에 참가한 모든 학자들이 함께 부산시 남구 유엔기념공원에서 개최되는 유엔의 날 기념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하는 부산대 통일한국연구원의 김기섭 원장은 “70여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아픈 한국전쟁과 유엔의 의미에 대해 많은 세계적인 학자들과 함께 피란수도 부산에서 학술적 토론의 장을 여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에 자부심을 가진다”며 “앞으로도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할을 강화하고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국제 컨퍼런스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porter Chung Moon-kyun] Busan National University's Unific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Director Kim Ki-seop, Professor of History) announced on the 18th that it will hold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N and Korean War at the university headquarters and Indokgwan for four days from October 21 to 24.

 

In world histor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War and the United Nations (UN) remain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United Nations' value for peace, freedom, and prosperity to all mankind. The Korean War was the first war fought by the United Nations since its foundation (1945). Soldiers were dispatched from 16 member countries, and medical support was provided to six countries. Korea celebrates the sacrifice and contribution of U.N. veterans by setting the date of the armistice agreement on July 27 as the legal anniversary of the United Nations Military Participation Day.

 

In particular, the Korean War (1950-1953), which led to geopolitical tensions in East Asia, especially the Korean Peninsula after World War II, has great research value such as political international relation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ical significance, post-war restoration,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nd more than 70 years of unification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was designed to explore "forgotten" relationships through various studies of individuals, groups or countries, such as "What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 and the U.N. and participating countries?" "What are the political and international issues and how the war is understood internationally?" and "Do soldiers and their families and Koreans have their own war history?"

 

In particular, various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such as history, politics, anthropology, sociology, war strategy, human movement, medicine, refugees, prisoners of war, Busan studies, unification policy, education, and human rights are expected.

 

Above all, this academic event is unusual and even more meaningful for holding in Korea as it is a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where scholars from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United States, Britain, Australia, Germany, France, Russia, China, Iran, and Japan, publish various research papers on the U.N. and the Korean War.

 

On the 21st, the first day, a conference forum will be held. Lectures will be given by Australian Ambassador to South Korea Catherine Rapper, UN Deputy Commander Andrew Harrison and U.S. Ambassador to South Korea Andrew Hurrup.

 

Under the theme of "Australia and Korea as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 in society, culture, and economy," Ambassador Catherine Rapper will emphasize close partnership, while UN Deputy Commander Andrew Harrison will give a lecture on the world order still challenged after the Korean War, military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ternational partnership.

 

Along with a welcoming speech by Cha Jung-in, president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Metropolitan City will also participate in the forum to promote the peaceful city of Busan through the UNESCO registration of the capital city of refuge and the 2030 Expo.

 

Conference conferences will be held on the 22nd and 23rd. Two keynote lectures and presentations of 32 research papers in 11 sessions will be held.


The keynote lecture on the first day is Steve Casey's "Korean War: The Perspective of the United States," which introduces interesting content on Americans' response to the Korean War and complicated interactions between the U.S. elite, government, Congress, and media.

 

On the second day of the keynote speech, James Matt Ray, a professor at California State University in the U.S., will present the theme of "Mission Completed: A Ceasefire between the United Nations and the Korean Wa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ed Nations, conflicting opinions are expected to be presented on the role of the Korean War and whether the United Nation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was effective collective security.

In addition, 32 research papers from more than 20 countries will be published in 11 sessions for two days on the 22nd and 23rd. The topics of the session are ▲ UN policy on the Korean War ▲ narrative of war victims ▲ movement of prisoners and refugees ▲ war strategies and battles ▲ stories of little-known Korean War veterans ▲ human rights and welfare ▲ theories and methods of unification and peace process ▲ UN SDGs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11 sessions, two of the published papers will be selected to award academic and research awards, and later excellent papers will be selected and published with British publishers.

 

The last day of the 24th is UN Day, and all schola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will attend the UN Day ceremony at the UN Memorial Park in Nam-gu, Busan.

 

Kim Ki-seop, director of the Unification Korea Institute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said, "We are proud that we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academic discussions in Busan, the capital of the country, and we will continue to hold international conferences regularly to contribute to world peace."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예술을 통해 배우고 연결되다...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송형종)은 오는 18일(화)부터 22일(토)까지 한 주간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5개 권역별 센터에서 ‘2025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예술, 또 다른 세상을 잇다’를 주제로 예술교육 전문가, 예술가, 시민이 한자리에 모여 예술을 통해 배우고 연결되는 다양한 경험을 나누는 자리다. 올해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은 권역별 문화예술교육 센터들의 대표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확산하고, 서울 전역의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 행사 주간 동안에는 5개 권역별 센터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상설 체험 프로그램과 장르별 특성을 담은 총 37개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펼쳐질 예정이다. 특히 시설 개선 공사를 마치고 오는 18일(화)부터 운영을 재개하는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서초에서는 이번 행사 주간을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그동안 5개 권역별 센터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던 21개의 대표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현우 교수의 ‘셰익스피어 이야기’ △서의철x박다울의 ‘거문고 이야기’ △김찬용 도슨트의 ‘한번쯤은 서양미술사: 입체주의부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스포트라이트 받는 주인공 뒤에 숨은 조력자를 기억하자
지난 14일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한국과 파라과이의 축구 평가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단연 오현규였다. 그는 후반 30분 승리에 쐐기를 박는 결정적인 골을 넣으며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그러나 그 골의 배후에는 수비수 두 명을 제치는 현란한 드리블 후 냉정히 경기의 흐름을 읽고 찬스를 만들어낸 또 다른 주인공이 있었다. 바로 이강인이다. 그는 전방으로 빠르게 침투한 오현규에게 정확한 타이밍의 패스를 연결해 골의 90%를 만들어 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경기가 끝난 후 조명은 오직 골을 넣은 선수에게만 쏟아졌고, 이강인의 이름은 짤막이 언급되었다. 지난 21일 한국프로야구 2025 플레이오프 한화 대 삼성의 3차전에서 한화가 5대4로 역전승을 거둔 뒤, 단연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구원투수로 나와 4이닝 무실점으로 역투한 문동주였다. 그런데 사실 한화가 역전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상대적으로 어린 문동주를 노련한 투수 리드로 이끌어간 최재훈 포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기가 끝난 후 역투한 문동주와 역전 투런 홈런을 친 노시환만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최재훈의 이름은 언급조차 없다. 이러한 장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