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시, 공공형 어린이집 지속 확충

URL복사

올해 공공형 어린이집 10개소 지정…총 101개소 운영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는 10월 11일 오후 4시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서정욱 행정부시장, 김시화 울산공공형어린이집연합회장 등 20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2년 신규 지정 공공형 어린이집 지정서 및 현판 전달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공공형 어린이집은 인건비를 지원받지 않는 어린이집 중에서 우수한 곳을 지정해 운영비를 지원하고, 강화된 운영기준을 적용하여 영유아에게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제도이다.

  

이번에 신규 지정된 공공형 어린이집은 10개소이다.

  

신규 지정된 어린이집은 3년간 교사 인건비, 유아반 운영비, 교육환경개선비, 조리원 인건비 등 운영비를 지원받게 되며, 우수한 보육의 질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평가 기준에 따라 3년마다 재지정 절차를 거치게 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공공형 어린이집과 국공립어린이집을 지속적으로 확충하여 보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부모가 믿고 맡길 수 있는 안심 보육 환경을 조성하는데 더욱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울산시는 지난 2011년 공보육 강화와 보육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공공형 어린이집 제도를 도입했으며 이번에 신규 지정 10개소 포함 총 101개소(재원 영유아 5,203명)가 운영 중이다.

 


[Reporter Jung Yoon-chul] Ulsan City announced that it will hold a "2022 New Designated Public Daycare Center Designation and Signboard Delivery Ceremony" at 4 p.m. on October 11 in the situation room on the 7th floor of the main building of the city hall.

  

Public daycare centers are being promoted to support operating expenses by designating excellent daycare centers that are not supported by labor costs, and to provide quality childcare services to infants and toddlers by applying strengthened operating standards.

  

There are 10 newly designated public daycare centers.

  

The newly designated daycare center will receive operating expenses such as teacher labor costs, infant class operating expenses,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costs, and cook's labor costs, and will be re-designated every three years according to evaluation standards to maintain and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An official from Ulsan City said, "We will continue to exp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to strengthen the public nature of childcare and create a safe childcare environment that parents can trust."

 

Meanwhile, Ulsan City introduced a public daycare center system in 2011 to strengthen public childcare and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and a total of 101 locations (5,203 infants and toddlers) including 10 newly designated ones are in operation this time.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