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주군, 민선8기 공약사업 확정… 1조8천억원 규모

URL복사

5대 분야 101개 사업 실천계획 수립해 본격 추진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 울주군은 민선8기 군정비전 ‘내 삶에 스며드는 행복울주’ 실현을 위한 5대 분야 101개 공약사업을 확정했다고 7일 밝혔다.

 

공약사업 추진을 위해 ▲국비 4천193억 ▲시비 2천357억 ▲군비 8천202억 ▲타 기관, 민자 3천719억원 등 총 1조8천471억원이 투입된다.

 

선거기간 이순걸 군수가 제시한 공약을 중심으로,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공약추진계획안을 작성했다. 이어 울주군민으로 구성된 주민배심원의 검토와 논의를 거쳐 공약을 확정하고 실천계획을 수립했다.

 

각 분야는 ▲군민중심 신뢰행정 구현 ▲필요한 곳에 두텁게 지원하는 복지 도시 ▲머물고 싶은 문화관광도시 ▲지속가능한 혁신성장 주도 ▲쾌적하고 품격있는 도시 조성 등이다.

 

먼저 ‘군민중심 신뢰행정 구현’ 분야는 스마트 군정시스템 도입과 원콜서비스센터 운영, 주민 직접 소통창구 구축, 범서 굴화 제3민원센터 등 5개 사업에 185억원이 투입된다.

 

‘필요한 곳에 두텁게 지원하는 복지 도시’ 분야로는 울주 군립병원 설립, 울주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남부·서부 육아종합지원센터 건립, 취약계층 자립지원 강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 개선 등 총 1천197억원을 들여 28개 사업을 추진한다.

 

‘머물고 싶은 문화관광도시’를 위해서는 남부권 국민체육센터 건립, 신불산 케이블카 조기 설치, 언양읍성 복합문화거리, 권역별 파크골프장 조성 등 16개 사업에 2천882억원이 책정됐다.

 

‘지속가능한 혁신성장 주도’ 분야는 기술기반 강소기업 지원 및 육성, 먹거리통합지원센터 건립, 6차산업 사업자 지원·스마트팜 농가 확대, 청년창업센터 건립 등 13개 사업에 1천353억원이 투입된다.

 

‘쾌적하고 품격있는 도시 조성’ 분야에서는 KTX 역세권 도심융합특구 유치, 동해남부선 역세권 개발, 개발제한구역 조정을 통한 도시 개발 등 1조2천855억원이 투입돼 39개 사업을 추진한다.

 

이순걸 군수는 “군민들께 약속드린 공약을 임기 내 반드시 완수해 ‘내 삶에 스며드는 행복울주’를 실현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항상 군민을 최우선으로 섬기며 군민의 행복과 울주의 발전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 의회와 협력해 살고 싶은 울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Reporter Jung Yoon-chul] Ulju-gun, Ulsan-si, announced on the 7th that it has finalized 101 pledge projects in five major areas to realize the 8th civil election military vision "Happy Ulju that permeates my life."

 

A total of KRW 1 trillion 847.1 billion will be invested, including ▲ national expenses of KRW 419.3 billion ▲ municipal expenses of KRW 235.7 billion ▲ military expenses of KRW 820.2 billion ▲ other institutions and private capital of KRW 371.9 billion.

 

Focusing on the pledges made by Governor Lee Soon-gul during the election, the government drew up a plan to promote the pledges by collecting opinions from all walks of life. Subsequently, after reviewing and discussing the residents' jury composed of Ulju-gun residents, the pledges were confirmed and an action plan was established.

 

Each field includes ▲ implementation of trust administration centered on county residents ▲ welfare city that supports where necessary ▲ culture and tourism city that wants to stay ▲ leading sustainable innovative growth ▲ creating a pleasant and elegant city.

 

First of all, 18.5 billion won will be invested in five projects,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a smart military government system, the operation of a one-call service center, the establishment of a direct communication window for residents, and the 3rd Beomseo Gulhwa Civil Service Center.

 

A total of KRW 119.7 billion will be spent on 28 project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Ulju County Hospital, the establishment of Ulju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th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childcare support centers in the south and west, strengthening self-reliance support for vulnerable people, and improving the treat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Culture and Tourism City I Want to Stay, KRW 288.2 billion was set aside for 16 projects,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sports center in the southern region, the early installation of Sinbulsan cable car, the complex cultural street of Eonyangeupseong Fortress, and the creation of a park golf course by region.

 

In the "Leading Sustainable Innovation Growth" field, KRW 135.3 billion will be invested in 13 projects, including support and fostering technology-based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establishing food integrated support centers, supporting sixth industrial operators and expanding smart farm farms, and building youth start-up centers.

 

In the field of "Creating a Pleasant and Classy City," KRW 1 trillion 285.5 billion will be invested to promote 39 projects, including attracting special urban convergence zones in the KTX station area, developing stations on the Donghae Nambu Line, and adjusting development restricted areas.

 

Governor Lee Soon-gul said, "I will do my best to fulfill the promise I promised to the people of the county and realize the 'happy Ulju that permeates my life'," adding, "I will always serve the people first and focus all my capabilities for the happiness and development of Ulju." "We will work with the Congress to create a Ulju where we want to live," he said.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