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국제

英정부, 부유층 ‘세금 감면’ 철회…반발 거세지자 열흘 만에 U턴

URL복사

쿼지 콰텡 재무장관 “최고 소득세율 45% 폐지 안 할 것”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영국 정부가 3일(현지시간) 금융시장의 혼란을 촉발하고 파운드화를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뜨린 감세안 패키지의 일부인 최고소득세 인하 계획을 철회했다고 AP통신 등이 이날 보도했다.

 

쿼지 콰텡 영국 재무무 장관은 이날 "연간 15만 파운드(16만7000달러) 이상의 소득에 대해 납부하는 최고 소득세율 45%를 폐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성명에서 "우리는 그것(감세한 논란을)을 알고 있고, 우리는 경청했다"며 "45% 세율의 폐지가 영국이 직면한 도전을 해결하기 위한 우리의 최우선 임무에서 벗어나는 것이 분명하다"고 했다.

 

이러한 감세안 철회 결정은 열흘 전에 발표한 정부의 세금 계획에 반대하는 집권당인 보수당 소속 의원들이 늘어나면서 나온 것이다.

 

또한 보수당이 3일 오후 영국 중부 도시 버밍엄에서 열리는 당 연례 회의에서 콰텡 재무장관이 발표할 연설의 사전 발췌문을 발표한 지 몇 시간 만에 나왔다. 그는 "우리는 코스를 유지해야 한다. 나는 우리의 계획이 옳다고 확신한다"고 말하기로 되어 있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리즈 트러스 영국 총리는 2일 이 같은 감세안 조치를 옹호하면서도 "좀 더 잘 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감세안 추진 과정에서의 아쉬움을 피력한 바 있다.

 

트러스 총리는 몇 년간의 부진한 성장을 끝내기 위해 영국 경제를 근본적으로 재편하겠다고 약속하며 취임한 지 한 달이 채 되지 않았다.

 

그러나 정부가 지난 달 23일 정부 차입으로 지불할 450억 파운드의 감세를 포함한 경기부양책을 발표하면서 파운드화는 달러 대비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영국중앙은행인 영란은행은 채권시장을 부양하기 위해 개입할 수밖에 없었고, 은행이 곧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두려움은 모기지론 대출자들이 가장 싼 거래를 철회하게 만들면서 주택 구입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했다.

 

이러한 감세안은 심지어 보수당 내에서도 지지를 얻지 못했다. 수백만 명이 치솟는 에너지 요금으로 인한 생계비 위기에 직면하는 동안 최상위 소득자에 대한 세금을 줄이고 은행원의 상여금 상한선을 폐지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독이 되는 것으로 널리 여겨졌다고 AP통신이 지적했다.

 

트러스 총리와 콰텡 재무장관은 그들의 계획이 성장하는 경제를 제공하고 결국 더 많은 세금 수입을 가져올 것이며, 현재의 삭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차용 비용을 상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공공 지출을 삭감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

 

콰텡 장관은 정부가 내년 소득세 기본세율 인하와 이전 정부가 계획한 법인세 인상 번복 등 다른 조세정책을 고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