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

800년 전 타임캡슐 고려시대 죽간 첫 발굴

URL복사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충남 태안군 근흥면 마도 해역에 대한 수중발굴조사를 실시해 도자기, 죽제품 등 1,400여점을 인양했고, 고려 선박 1척을 인양중이라고 밝혔다.
국내 최초로 고려시대 죽간(竹簡, 대나무에 글을 적은 것)을 발굴해 선박의 선적·출항일자, 발신지(자), 수신자, 화물의 종류와 수량 등이 적힌 목간과 죽간 64점을 수습했다.
목간·죽간에 적힌 내용으로 미뤄봤을 때, 이 선박은 1207년 겨울에서 1208년 초에 걸쳐해남·나주·장흥 일대에서 곡물류와 젓갈류, 도자기 등을 싣고 개경으로 항해하던 중 마도에서 좌초된 것으로 보인다.
목간과 죽간에는 정묘(丁卯) 10월, 12월 28일, 무진(戊辰) 정월, 2월 19일등의 간지와 날짜가 적혀 있다. 이는 화물의 선적 일자로 보이며 선박은 무진년 2월 19일 이후 출항했고 화물의 발신지는 죽산현(竹山縣 현 해남), 회진현(會津縣 현 나주), 수령현(遂寧縣현 장흥) 등으로 밝혀졌다.
지방향리 직위인 장(長)과 함께 송춘(宋椿)과 같은 발신자 성명을 구체적으로 적은 것도 있다. 수신자는 개경에 있는 관직자로 대장군(大將軍), 별장(別將), 교위(校尉), 봉어동정(奉御同正)과 같은 관직명과 김순영(金純永), 권극평(權克平), 윤방준(尹邦俊), 송수오(宋壽梧)처럼 이름을 정확히 기록했다.
또 목간·죽간에는 지방에서 개경으로 보내는 여러 종류의 화물명도 적혀 있다. 벼[租, 白米], 조[粟], 메밀[木麥], 콩[太], 메주[말장(末醬)]와 같은 곡물류와 고등어[古道], 게[解] 등의 젓갈류도 확인됐다. 이외에도 기장, 피와 생선뼈, 멸치젓, 대나무 반, 석탄 등의 화물도 포함돼, 종류가 매우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유물 중 ‘대장군 김순영택 상 전출 조 일석(大將軍金純永宅上田出租壹石: 대장군 김순영 댁에 전출 벼 1섬을 올린다)’라 적힌 죽간 6점이 특히 주목된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따르면 김순영은 1199년 장군으로 승진한 것으로 기록됐고1242년에 만들어진 ‘김중구묘지명(金仲龜墓誌銘)’에서도 신종(神宗, 1198~1203)대에 장군을 지낸 것이 확인된다. 이후 집권자인 최충헌의 밑에서 대장군으로 승진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는 “그가 장군에 오른 1199년 이후의 정묘, 무진년은 각각 1207년과 1208년에 해당해 ‘마도1호선’은 1208년 출항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곡물류 외에도 대접, 접시, 잔 등의 고려청자 등 모두 1,400여점의 유물을 인양했다.
‘마도1호선’은 길이 10.8m, 중앙 폭 3.7m규모로 남동~북서 방향으로 갯벌에 묻혀 있다. 2개의 돛대구멍이 있으며, 이전 수중 발굴 선박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선체구조물도 확인됐다.
인양이 완료되면, 선박과 화물의 성격에 대한 후속연구로고려 선박구조와 조선(造船) 기술을 탐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는 태안 마도 해역이 차지하는 수중고고학, 역사학적 중요성을 감안하여, 연차적 조사계획을 통해 체계적이고 면밀한 수중발굴조사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양곡관리법·농안법, 국회 본회의 통과...농안법도 국회 본회의서 가결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석열 前대통령 1호 거부권'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과잉 생산된 쌀을 매입하는 내용의 '양곡관리법' 개정안과 농수산물 시장 가격이 기준 가격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차액을 지원하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안법)' 개정안이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고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찬성 199표, 반대 15표, 기권 22표로 가결했다. 쌀값이 급락한 경우 초과 생산량을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규정한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추진됐다가 윤석열 정부 당시 거부권이 처음 행사돼 폐기된 바 있다. 민주당이 재추진한 이번 개정안의 수정안에서 여야는 사전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통한 수급 조절, 당해년도 생산 쌀에 대한 선제적 수급조절 및 수요공급 일치, 쌀 초과 생산 및 가격 폭락 시 수급조절위원회가 매입 관련 심사 등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수산물 시장가격이 기준 가격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차액을 지원하는 내용의 농안법도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표결 결과 찬성 205표, 반대 13표, 기권 19표가 나왔다. 농안법 개정안은 국내 수요보다 농수산물이 초과 생산되지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