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6.1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업단신

아시아교류협회,‘한-아세안 프런티어 포럼’ 성료

URL복사

한-아세안 청년들의 인적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증진을 위한 한-아세안협력기금의 대표 인적교류 프로그램

 

[시사뉴스 김남규 기자] 아시아교류협회는 부산 누리마루 APEC 하우스에서 ‘제9회 한-아세안 프런티어 포럼(9th ASEAN-Korea Frontier Forum) 분과회의, 한-아세안 경제 포럼(ASEAN-Korea Economic Forum)’ 폐막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아시아교류협회는 ‘2019년 한-아세안 특별 정상 회의’ 개최 기념 후속 사업으로 한-아세안 청년 공동체 형성을 위한 ‘제9회 한-아세안 프런티어 포럼’을 기획하였으며, 2020년 1월 진행된 모의 정상 회의를 시작으로 △정치‧안보, △경제를 중점으로 하는 주제별 분과회의를 개최해오고 있다.

 

한-아세안 경제 포럼은 대한민국과 아세안 청년들이 한-아세안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지난 22일부터 부산 한화 리조트 및 누리마루 APEC 하우스에서 진행되었으며, 올해 12월에는 청년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한-아세안 동문회가 예정되어 있다.

 

한-아세안 협력기금의 후원과 부산광역시의 지원으로 개최된 이번 한-아세안 경제 포럼은 대한민국과 아세안 10개국 만 19~29세 청년 58명이 참여하였으며, 이 중 대표단 20명은 아세안 청년 고위급 회의체인 SOMY(ASEAN Senior Official’s Meeting on Youth) 추천을 통해 선발되어 해외에서 비대면으로 참여하였다.

 

지난 27일, ‘2019 한-아세안 특별 정상 회의’가 진행되었던 부산 누리마루에서 모의 정상 회의가 개최되어 참가자들은 △디지털 경제,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의제로 공동성명서를 발표하였으며, 이후 진행된 폐막식은 아시아교류협회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 송출되었다.

 

이번 한-아세안 경제 포럼에는 기존 포럼에 참여했던 선배 참가자가 글로벌 멘토로 참여하여 자신의 경험을 후배들에게 공유하는 시간이 마련되었다. 2010년 처음 시작된 한-아세안 프런티어 포럼에는 약 800여 명의 동문이 있으며 이들은 전 세계 국제기구, 정부, 기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글로벌 역량을 펼치고 있다.

 

아시아교류협회 고은아 사업총괄실장은 “참가자들이 서로 다른 문화와 의견을 포용하고 협력을 다짐하는 모습을 보며 한-아세안의 밝은 미래를 엿볼 수 있었다"라며 “아시아교류협회는 앞으로도 아세안 각국의 청년들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함께 성장하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아시아교류협회는 외교부 등록 비영리 법인으로써 ‘꿈을 밝히고, 아시아를 잇습니다’라는 기조하에 아시아가 함께 공존하고 번영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청소년 지원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삶을 바로 세우는 경제적 철학과 실행 전략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부의 메신저’를 펴냈다. ‘부의 메신저’는 정은영 저자의 치열하고도 생생한 생존의 기록이자,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경제 전략을 담아낸 책이다. 보험설계사, 자산관리사, 분식점 운영자, 디벨로퍼 투자자 등 다방면의 실전 경험을 통해 저자는 ‘돈에도 무게가 있다’는 교훈을 얻었고, 그 무게를 이겨낼 수 있는 경제적 습관과 태도를 독자에게 제안한다. 특히 부동산과 주식 투자, 수익 파이프라인 구축, 연금 설계 등 현실에 기반한 조언은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실천 지침으로서 힘을 가진다. 남편의 희귀 난치병 진단, 권고사직, 어린 두 아이의 양육. 인생의 봄날을 맞이할 나이인 서른두 살에 저자 정은영에게 닥친 현실은 혹한 그 자체였다. 하지만 저자는 ‘죽으려니 살길이 보이더라’며 삶을 포기하는 대신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질문을 붙들고 살아남기로 결심했다. 그리고 18년이 지난 지금, 그는 무일푼의 여성 가장에서 20억 자산을 일군 현실 속 ‘부의 메신저’로 거듭났다.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되며, 단순한 자산 증식이 아니라 ‘진짜 부자’란 무엇인지에 대한 깊은 성찰로 나아간다. ‘사랑해야 진짜 부자다’라는 제목처럼, 자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국민이 선택한 이재명 정부 경제 현안 해결 정책에 중점 둬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치러진 지난 6.3 조기대선에서 제21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지도 벌써 2주가 지나갔다. 6.3 선거 당일 출구조사에서 50%가 넘을 것이라는 예측에는 빗나갔지만 49.42%의 득표로 41.15%를 얻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를 압도적으로 누르고 제21대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이 대통령은 1천728만표를 얻어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가장 많은 득표로 당선된 대통령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같은 득표의 배경으로 전국적으로 고른 지지를 받은데다 보수의 텃밭인 대구 경북지역에서도 당초 예상보다 7% 포인트 정도 더 지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수진영에서도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령이라는 본헤드 플레이는 잘못된 것이고 나라를 거의 망쳐버린 윤 전 대통령보다는 나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선거가 끝난 후 이재명 대통령의 향후 직무수행에 여론조사 결과 70% 정도가 ‘이 대통령이 직무수행을 잘할 것’이라고 응답한 결과가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10~12일(6월 둘째 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이 대통령이 앞으로 5년 동안 대통령으로서 직무를 잘 수행할 것으로 보는지, 잘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