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

10·28 재보궐선거 민주당 승리

URL복사

'미니총선'으로 불린 이번 10·28 재보궐선거는 민주당의 승리로 끝이 났다.
호남을 제외한 전국에서 5곳의 지역구에서 치러진 재보궐선거는 28일 오후 8시에 투표를 마감하여 각 지역구마다 개표에 들어갔다. 투표율은 39.0%로 지난 5년간 총 7번의 국회의원 재보선 가운데 세 번째로 높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발표에 의하면 오후 8시 현재 총 유권자 864,860명(부재자 14,258명 포함) 가운데 337,085명이 투표를 마쳐 39.0%의 투표율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 투표율은 지난 4·29 재보선 투표율 40.8%보다는 낮지만, 2004년 17대 이후 국회의원 재보선의 평균 투표율 34.9%에 비해 높게 나왔다.
선거구별로는 경남 양산이 43.9%로 가장 높은 투표율을 보였고, 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이 42.9%로 두 번째로 높은 투표율을 보였다. 강원 강릉은 40.3%, 수원 장안은 35.8%, 안산 상록을은 29.3%로 투표율을 기록했다.
수도권 지역구의 투표율이 낮은 이유에 대해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서울로 출퇴근하고 있어 퇴근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투표하지 않은 이유와 20∼30대 유권자의 무관심으로 평가하고 있다.
경기 수원 장안 지역구는 민주당 이찬열 후보가 선거인수 217,067명 가운데 77,793명이 투표하여 38,187표(49.22%)를 얻어 당선됐다. 하지만, 치열하게 추격한 한나라당 박찬숙 후보는 33,106표(42.57%)에 그쳐 고배를 마셨다. 그 뒤를 이어 민주노동당 안동섭 후보는 5,570표(7.17%), 무소속 윤준영 716표(0.92%)를 얻었다.
경기 안산상록을 지역구는 낮은 투표율로 인해 일찍감치 당선 결과가 나왔다. 민주당 김영환 후보가 선거인수 118,054명 가운데 34,535명이 투표하여 14,176표(41.17%)를 얻어 11,420표(33.17%)를 얻은 한나라당 송진섭 후보를 따돌리고 당선됐다. 무소속 임종인 후보는 5,363(15.57%), 자유선진당 장경우 후보는 1,145표(3.32%), 무소속 김석균 후보는 896표(2.60%), 무소속 윤문원 후보는 439표(1.27%), 무소속 이영호 후보는 987표(2.86%)를 얻었다.
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 지역구는 민주당 정범구 후보가 선거인수 174,719명 가운데 74,926명이 투표하여 31,232표(41.94%)를 획득하여 당선됐다. 뒤를 이어 한나라당 경대수 후보가 22,077표(29.64%), 무소속 김경회 후보가 14,977표(20.11%), 자유선진당 정원헌 후보가 3,249표(4.36%), 민주노동당 박기수 후보가 2,379표(3.19%), 자유평화당 이태희 후보가 552표(0.74%)를 얻었다.
경남 양산 지역구는 한나라당 박희태 후보가 선거인수 184,691명 가운데 81,103명이 투표하여 30,801표(38.13%)를 얻어 당선됐다. 민주당 송인배 후보는 27,502표(34.05%)를 얻어 국회에 입성하지 못했다. 무소속 김양수 후보는 11,162표(13.82%), 무소속 유재명 후보는 5,033표(6.23%), 민주노동당 박승흡 후보는 2,836표(3.51%), 무소속 김상걸 후보는 2,436표(3.01%), 무소속 김진명 후보는 546표(0.67%), 무소속 김용구 후보는 443표(0.54%)를 획득했다.
강원 강릉 선거구는 한나라당 권성동 후보가 선거인수 170,329명 가운데 68,721명이 투표하여 34,834표(50.90%)를 얻어 당선됐다. 뒤를 이어 무소속 송영철 후보는 23,097표(33.75%), 무소속 심기섭 후보는 7,883표(11.52%), 창조한국당 홍재경 후보는 2,612표(3.81%)를 얻는데 그쳤다.
3대2라는 성적을 내며 민주당 승리로 막을 내린 선거는 민주당은 향후 정국을 주도할 수 있는 계기가 됐고, 또한 세종시와 미디어관련법 개정 반대에 힘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한나라당은 정몽준 대표와 안상수 원내대표는 책임을 질 수 밖에 없고, 당 여론에 따라 내년초 조기전당대회를 열어야 할 상황이다. 또한 친박과 친이의 내분이 가속될 경우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 10·28 재보궐선거 당선자
* 경기 수원 장안 민주당 이찬열 당선자
1959년 7월 15일생, 수원 삼일실고 졸업(현 삼일공고),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전 제6대 경기도의회 의원, 전 17대선 대통합 민주신당 장안구 선대위 상임 부위원장, 전 18대 국회의원 통합민주당 수원시 장안구후보, 현 민주당 경기도당 운영위원, 현 민주당 수원장안 지역위원장
* 경기 안산 상록을 민주당 김영환 당선자
1955년 5월 27일생,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석사, 15대·16대 국회의원, 전 과학기술부 장관, 전 새천년민주당 대변인·정책위의장·최고위원, 전 새시대새정치연합청년회(연청) 중앙회장, 전 영국 캠브리지대학 방문연구원, 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외래교수, 현 치과 '이해박는 집' 대표원장
* 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 민주당 정범구 당선자
1954년 3월 27일생, 성동고등학교 졸업, 경희대 정치학과 졸업, 독일 Maburg대학 정치학 석사·박사, 제16대 국회의원(새천년민주당 고양 일산갑), 새천년민주당 대변인, CBS '시사자키, 오늘과 내일' 진행, 포럼 '포럼과 비전' 상임대표, 18대 총선 서울 중구 후보 출마 낙선
* 경남 양산 한나라당 박희태 당선자
1938년 8월 9일생, 부산 경남고 졸업, 서울대학교 법학과 졸업, 건국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 전 부산지검장, 부산고검장, 전 민주자유당 대변인, 전 14∼17대 국회의원(5선), 전 17대 국회부의장, 전 한나라당 대표최고위원
* 강원 강릉 한나라당 권성동 당선자
1960년 4월 29일생, 강릉명륜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수석 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사법전공) 수료, 전 춘천지방검찰청 강릉지청 검사, 전 인천지방검찰청 특별수사부 부장검사, 전 한나라당 클린정치위원회 법률지원 팀장, 전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 법무행정분과 상근자문위원, 전 청와대 법무비서관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양곡관리법·농안법, 국회 본회의 통과...농안법도 국회 본회의서 가결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석열 前대통령 1호 거부권'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과잉 생산된 쌀을 매입하는 내용의 '양곡관리법' 개정안과 농수산물 시장 가격이 기준 가격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차액을 지원하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안법)' 개정안이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고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찬성 199표, 반대 15표, 기권 22표로 가결했다. 쌀값이 급락한 경우 초과 생산량을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규정한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추진됐다가 윤석열 정부 당시 거부권이 처음 행사돼 폐기된 바 있다. 민주당이 재추진한 이번 개정안의 수정안에서 여야는 사전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통한 수급 조절, 당해년도 생산 쌀에 대한 선제적 수급조절 및 수요공급 일치, 쌀 초과 생산 및 가격 폭락 시 수급조절위원회가 매입 관련 심사 등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수산물 시장가격이 기준 가격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차액을 지원하는 내용의 농안법도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표결 결과 찬성 205표, 반대 13표, 기권 19표가 나왔다. 농안법 개정안은 국내 수요보다 농수산물이 초과 생산되지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