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노총 조합원수, 115만4000명으로 민노총보다 2만명 많아
격차 더 벌어져 한노총 존재감이 더욱 커질 듯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에게 빼앗겼던 제1노총 지위를 3년 만에 탈환했다.
2018년 조합원 규모에서 민주노총에게 추월당한 뒤 공공부문과 삼성그룹 계열사 등을 중심으로 조직 확장에 주력해 온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2020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국노총 조합원 수는 115만4000명으로 민주노총(113만4000명)보다 2만명가량 많게 집계됐다.
한국노총이 조직 규모에서 민주노총을 누른 것은 2018년 이후 3년 만이다.
국내 노동계에선 조합원 규모가 더 큰 쪽에 제1노총 지위를 부여한다 이에 따라 제1노총은 노동계가 참여하는 정부 기구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현 정부 들어 민주노총은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 전환 정책 등에 힘입어 산하 공공운수노조를 중심으로 다수 비정규직 조합원을 흡수했는데, 그 결과 2017년 70만명 규모였던 민주노총 조직 규모는 2018년 96만8000명으로 급증하며 1995년 창립 이후 처음으로 한국노총(93만3000명)을 제친 바 있다. 이후 지난 2019년에도 민주노총은 104만5000명으로 한국노총(101만8000명)보다 수적 우위를 점해왔다.
그러나 노동계의 지각 변동으로 한국노총이 조직 확대에 사활을 걸고 광역연맹, 공공 노총을 잇따라 흡수하며 상황이 역전된 것이다.
올해 한국노총이 통합키로 한 공공 노총이 더해질 경우 양대 노총 간 격차는 더욱 현저히 벌어질 것이란 추측이 나온다. 공공 노총은 전국통합공무원노조, 교사노조연맹 등을 가맹단체로 두고 있으며 약 10만명가량의 조합원이 소속돼있다.
민주노총의 경우 지난해 9월 법외노조 통보 처분 무효 판결이 내려진 전교조에서 4만5000여명의 조합원이 추가된 것으로 확인됐다. 법외 노조의 경우 정부 공식 집계에 포함되지 않고 있다.
한국노총의 1노총 복귀로 인해 민주노총의 고립은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양경수 위원장 체제하 민주노총은 강경 투쟁을 재확인하며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등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노정 관계에서 1노총 지위를 회복한 한국노총의 존재감이 더욱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말 기준 양대 노총과 상급 단체가 없는 노조 등을 합친 전체 조합원 수는 280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26만5000명(10.4%) 증가했다.
전체 조합원 수를 노조 가입이 가능한 노동자 수로 나눈 노조 조직률은 14.2%로 전년(12.5%)에 이어 또다시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조직 형태별 조합원 수는 산별노조와 같은 초기업 노조 소속이 169만5000명으로 전체의 60.4%를 차지했다. 기업별 노조 소속은 110만9000명으로 전체의 39.6%였다.
부문별 조직률은 공공이 69.3%, 공무원 88.5%, 교원이 16.8%로 모두 민간(11.3%)보다 훨씬 높았다.
사업장 규모별로 300인 이상 사업장의 노조 조직률은 49.2%였지만 100~299인 사업장은 10.6%, 30~99인 사업장은 2.9%, 30인 미만은 0.2%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