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객사명 등 고객 정보 제외, "상무부 양해"
민감한 내용 빼고 생산품 공급 현황 중심 자료 제출 전망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미 상무부가 요구한 반도체 공급망 관련 자료 제출 시한이 오는 8일로 다가왔다. 고객 정보 등 당초 우려가 제기됐던 민감한 내용보다는 기업별 생산품 공급 현황 중심의 자료가 제출될 것으로 보인다.
3일(현지시간) 본지 취재 결과를 종합하면, 미 상무부는 고객 정보 등 민감한 내용을 제외한 반도체 업종별 공급 현황 중심으로 자료를 제공하겠다는 기업 측 요청을 받아들이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반도체 생산 기업의 주력 품목이 무엇인지, 업종별 공급 비중이 어떤지 등이 자료에 담길 전망이다.
상무부는 각급 당국자 및 공관 등을 통해 기업과 꾸준히 소통해 왔으며, 이 과정에서 고객 정보 같은 민감한 내용을 제출할 경우 해당 기업이 고객사와 맺은 계약상 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기업 측 사정을 상무부도 어느 정도 양해한 것으로 안다"라고 전했다.
앞서 미 상무부는 지난 9월 반도체 공급 문제 해결을 위해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공급망 관련 정보를 제출하라고 요구한 바 있다. 제출 시한은 오는 8일까지로, 우리 정부 및 기업에서는 민감한 내부 정보를 제출할 경우 영업 기밀이 공유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해 왔다.
일각에서는 상무부의 자료 제출 요구가 실제로는 자료 조사 정도라고 평가하기도 하지만, 요구 자체가 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일 수밖에 없다. 아울러 각 기업이 제출한 자료를 상무부가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지도 아직 불투명하다.
또 다른 워싱턴 소식통은 "상무부가 자율적으로 자료를 제출하라고 했고 (내용은) 철저히 보호하겠다고 했지만 우려는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는 기업의 이런 우려를 대사관 등을 통해 꾸준히 미 상무부에 전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기업들의 자료 제출 시한 직후인 오는 9일께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문 장관은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과 만나 그간의 우려를 다시금 강조하고, 자료 분석 등 제출 이후 과정에 관해 논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