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인물

발행인과 함께 - 사후 약방문격 재난관리 이제 그만!

URL복사
<%@LANGUAGE="JAVASCRIPT" CODEPAGE="949"%>


무제 문서





 


사후 약방문격 재난관리 이제 그만!



리는
태풍의 위력을 인명과 재산의 손실 정도로 가늠하는 이상한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이번 태풍의 위력은 그야말로 대단했다. 행자부는
태풍 ‘매미’로 인해 13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피해 집계액은 4조7,000여 억원이 된다고 밝히고 있다.

물론 실제로도 ‘매미’는 초강력 태풍에 속한다. 제주도에서는 태풍의 초속이 무려 60m를 기록하기도 했다. 기상관측이래 최고였다.

그러나 만약 작년 ‘루사’의 악몽을 되살려 철저히 예방하고 대비했다면 ‘매미’는 ‘맴맴’ 맴돌다가 사라진 그저 그런 태풍으로 기억됐을지도
모를 일이다.


소방방재청으로 재해재난관리 일원화

정부는 태풍 매미로 인한 피해복구를 신속히 하기 위해 재해대책예비비 1조1,000억원을 조속히 집행하는 한편, 추경편성도 동시에 진행하기로
했다. 추경편성은 대략 3~4조원 가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행자부는 전국 피해지역 14개 시도, 156개 시군구, 1657개 읍면동을 특별재해지역으로 선포했다. 이에 따라 재해민들은 일반재해에
비해 50~150% 많은 지원금을 받는다.

특별위로금은 주택전파시 500만원, 반파는 290만원을 받는다. 침수된 가구에는 200만원이 지급된다. 2ha 미만 경작지에 한해 80%
이상 피해를 본 주민에게는 500만원, 50~80% 피해를 본 주민에게는 300만원이 지원된다.

재해민들에게는 턱없이 모자란 돈이나마 조속히 지원이 결정돼 다행이다.

하지만 이런 낭비도 없다.

정부는 사전 예방이라는 단어를 잘 모르는 듯 하다. 재해가 발생하면 그저 수습하기에 바쁘다. 정부의 예산 편성을 보면 명확히 알 수 있다.


정부는 지난 1999년 2조2,000억원의 예산을 재해복구에 투입했다. 2000년과 2001년에도 거의 비슷한 수준. 지난해에는 ‘루사’로
인해 무려 9조원이나 책정했다.

그런데 수해방지 비용으로는 1999년이래 1조8,000억원~2조원 선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니 수해방지가 제대로 이루어질리 만무하다.

그렇다고 복구에 정성을 쏟는 것도 아니다. 지난해 엄청난 피해를 당했던 강원도는 이번 태풍이 올 때까지 하천 정비조차 끝내지 못 한 상태였다.
또 하천과 도로 등이 정비가 됐다고 해도 땜질식으로 모양만 갖춰놓는 식이어서 피해를 더 키우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시스템 문제도 지적해야겠다. 이번 태풍 후 우리는 미국에 불어닥친 허리케인을 보면서 미 연방재난관리청(FEMA)의 활약을 부러워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것은 부러워할 일이 아니라 부끄러워할 일이다.

우리도 미 연방재난관리청처럼 일원화된 재해재난대비시스템을 갖출 기회가 있었다. 이번에 입법이 예고된 소방방재청을 두고 하는 말이다.

소방방재청은 지난 5월 입법예고까지 됐다가 행자부 내부와 관련 부처 사이의 갈등으로 인해 입법예고가 철회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소방방재청은 재난이 발생했을 때, 컨트롤 타워가 돼 사고 예방과 신속한 대응 업무를 맡는다. 사고 유형에 따라 13개 부처에 분산돼 있던
재난 관련 업무를 방재청이 총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물론 예방의 기능까지 겸한다.

만약 당시에 입법이 예고되고 공포까지 됐더라면 이번 태풍에는 소방방재청의 활약을 눈으로 확인해 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매우 아쉽지만 늦게라도 입법예고된 것을 다행으로 여기며 이번에는 철회되는 일이 없길 바란다. 그리고 앞으로는 소방방재청 중심으로
재해에 슬기롭게 대처해 ‘재해(災害)는 인재(人災)’라는 한국적 공식을 깨뜨리길 기대해본다.



shkang@sisa-news.co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국회, 경제 대정부 질문…확장 재정·상법 개정안·노란봉투법·소비쿠폰 '부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오늘(17일)경제 분야 대정부 질문을 실시한다. 정부의 경제 정책 기조 등을 놓고 여야 격돌이 예상된다. 국회는 이날 이재명 정부 첫 정기국회 경제 분야 대정부 질문을 실시한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권칠승·정태호·이언주·주철현·허성무·김영환 의원이 질의자로 나선다. 민주당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이재명 정부 정책 성과를 조명하면서 윤석열 정부 당시 세수 결손 사태 등을 지적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이번 대정부 질문을 사실상 '청문회' 성격으로 규정하고 정부 정책을 송곳 검증할 계획이다. 4선인 김상훈·이헌승·조은희·조승환 의원이 질문자로 나서 정부의 확장 재정 기조와 상법 개정안·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 등의 문제점을 부각할 예정이다. 비교섭단체에서는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대정부질문에 참여한다. 정부 측에서는 국무총리, 기획재정부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국토교통부 장관, 해양수산부 장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공정거래위원장, 금융위원장 등이 출석한다. 여야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놓고도 공방을 벌일 전망이다. 여권은 "밭에 씨를 뿌려야 하

경제

더보기
이노비즈협회-조달청, 중기 공공조달 규제개선 간담회 개최... “현장 소통으로 조달 혁신”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노비즈협회는 17일 성남 판교 협회 대회의실에서 조달청과 함께 ‘현장 소통 간담회’를 개최하고,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조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이번 간담회는 중소기업들이 조달 참여 과정에서 겪는 불합리한 제도와 규제를 개선하고, 현장 중심의 정책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는 이노비즈협회 정광천 회장을 비롯해 △유니온씨티 임동욱 대표(이노비즈 전북지회 회장) △보광아이엔티 차순자 대표 △에니텍시스 홍사혁 대표 △하이테커 백성욱 대표 △아이지 김창일 대표 등 혁신·우수·G-PASS기업 및 공공조달 참여기업 5곳이 참석했다. 조달청에서는 백승보 청장과 주요 정책부서 과장 등 4명이 함께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간담회에서 이노비즈기업의 조달 참여 활성화와 공정한 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실질적 정책 개선 방안이 진행됐다. 정광천 이노비즈협회 회장은 △공공조달형 납품대금 연동제 확대, 임동욱 ㈜유니온씨티 대표이사는 △조달청 인증제품의 개별 매각 제도 도입을 제안했으며, 차순자 ㈜보광아이엔티 대표이사는 △다수공급자계약 진행 기간 단축과 기업 보호 제도 마련 △다수공급자계약 물품 등록 시 가격 조정의 투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일 안 해도 돈 준다’…청년 실업 대책, 계속되는 엇박자
‘청년 백수 120만’ 시대를 맞아 정부가 청년 고용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강력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백수’는 대한민국에서 15~29세 청년층 중 공식적인 통계에 잡히는 실업자는 아니지만, 실직 상태이거나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또는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쉬었음’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난 2월 통계청 발표에서 전년보다 7만여 명 이상 늘어난 120만7천 명에 달했다. 이중 실업자는 약 27만 명, 취업준비자 약 43만 명, ‘그냥 쉬었음’이 약 50만 명으로 그냥 쉰다는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는 공식적인 용어로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거나, 있더라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청년(쉬었음 청년, 구직 청년,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데 자칫 일 안 해도 정부가 수당도 주고, 각종 지원도 해준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 청년 세대의 어려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