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강준민 기자] 경북도가 매년 수십억 원의 혈세를 쏟아붓는 (재)문화엑스포 경주엑스포대공원에 장애인 편의시설조차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밝은내일IL종합지원센터(센터장 최창현)가 지난 20일 경주엑스포대공원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이 같은 민낯이 드러났다.
센터의 현장조사 결과에 따르면 엑스포기념관과 경주타워의 경우 입구 장애인용 경사로는 손잡이에 시각장애인용 점자표지판이 돼 있지 않았고, 장애인 화장실에는 대변기 옆에 도움벨이 없었다. 사실상 긴급상황 시 장애인을 무방비로 버려둔 것이다.

엑스포기념관 화장실 공간은 세면대가 밖에 있고 변기가 안쪽에 있어야 하는 데 반대로 돼 있었으며, 세면대의 손잡이는 상하로 움직이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고정시켜 놓았다.
이럴 경우 장애인이 이용하는 휠체어 회전공간이 부족하고 화장실 문이 오작동으로 의지와 관계없이 열려 신체가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세면대 손잡이를 고정식으로 해놓으면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이 사용하기 어렵다.
장애인용 화장실은 성별이 다른 장애인과 도우미가 함께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인들과는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데, 이곳에는 일반화장실 안에다 뒀다.
엑스포 기념품 가게도 엉망이었다. 휠체어장애인들이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경사로가 없었다. 또 문화펙토리라운지 내 화장실 자동스위치 위치는 잘못 설치돼 있었고, 변기 옆에 도움벨도 없었다.

현장을 둘러보고 온 최창현 센터장은 “장애인 편의시설이 이렇게 엉망인데 어떻게 준공허가가 날 수 있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라며 “이런 상태로 준공허가가 났다는 것은 정상적인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준공허가에 의문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이는 담당 공무원과 편의시설을 감독하고 조사하는 지체장애인협회가 직무를 유기한 것이며, 이철우 도지사의 장애인식의 수준과 장애 인권 감수성의 정도를 말해주는 것으로 직무유기를 넘어서 장애인 차별”이라고 비난하면서, 이 지사의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을 요구했다.
최 회장은 “만약 도지사의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장애 회원들과 함께 시위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의 요구를 해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경북도 담당 공무원은 “정상적인 허가절차를 거쳐 사용 중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지적된 내용을 파악해서 문제가 드러나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