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그동안 상승세를 보이던 기업들의 경기 전망이 다소 위축됐다. 또 비제조업의 경우 부정적인 전망으로 전환됐다.
24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조사 결과에 따르면 6월 종합경기 BSI 전망치는 102.6을 기록했다. BSI가 기준치 100 보다 높을 경우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판단하고 있고 100보다 낮을 경우 부정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지난 3월부터 4개월 연속 기준치 100을 상회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지수값 자체는 지난달 대비 5.1포인트 하락해 경기 호조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경우 105.1을 기록했지만 비제조업은 99.4를 나타내 전달보다 경기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경공업(100.0)의 경우 전월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됐고 중화학공업(106.5)의 경우 ▲금속 및 금속가공 제품(121.2) ▲비금속 소재 및 제품(116.7) ▲전자 및 통신장비(112.5)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비제조업의 종합경기 BSI 전망치는 지난 3월에 긍정적으로 바뀐 이후에 석 달 만에 다시 부정적으로 돌아섰다. ▲전기·가스·수도(77.8) ▲운수 및 창고(90.5)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부진할 것으로 관측됐다.
한경연은 "BSI 전망치가 지난 3월 109.2를 고점으로 점차 하락하는 양상이고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 6월 BSI 전망치가 99.4로 기준치 100 이하로 떨어졌음을 감안할 때 최근의 경기 호조세에 다소 불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비제조업은 지난 3월 102.9로 100선을 돌파한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100선 아래로 떨어진 것"이라며 "백신 수급 불확실성에 따른 대면서비스 수요 둔화 우려, 유통업·운송업을 중심으로 한 업계 경쟁 심화와 도시가스 수요 감소 등 계절적 요인이 기업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관측된다"고 밝혔다.
부문별 6월 전망치를 보면 ▲내수(102.3) ▲수출(100.5) ▲투자(103.8) ▲고용(105.1) ▲자금사정(102.1) ▲채산성(99.0) ▲재고(98.2·100 이상일 때 부정적) 등이었다. 내수 전망치는 지난 3월 이후 3개월 연속 하락했고 수출도 지난달 대비 -5.3포인트의 큰 폭 하락세를 보이면서 호조세가 둔화됐다.
다만 투자의 경우 지난달 대비 2.2포인트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한경연은 "반도체 등 신산업·신기술 투자 지원 확대에 대한 기대가 기업들의 투자 심리를 끌어올리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아울러 최근 전 세계적인 원자재·부품 공급 차질의 영향으로 인해 제조기업들의 부담이 큰 상황이라는 게 한경연의 분석이다. 제조업의 채산성 전망치(98.1)가 100선 밑으로 급락(-8.5포인트)했으며 재고(96.8)는 2002년 5월(93.1) 이후 1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경연은 "통상 재고 BSI는 수치가 100 이하로 낮은 것이 긍정적인 시그널"이라며 "최근의 낮은 수치는 물류·공급난으로 인한 적정 재고 유지의 어려운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한편 5월 종합경기 BSI 실적치 역시 106.4로 기준치 이상을 유지하면서 호조세를 보였지만 4월 -1.9포인트, 5월 -4.6포인트를 기록하는 등 지난달에 이어 2개월 연속 하락했다. 부문별로는 ▲내수(105.6) ▲수출(101.0) ▲투자(102.6) ▲고용(107.9) ▲자금사정(103.8) ▲채산성(103.1) ▲재고(98.2) 등 전 부문에서 기준선을 상회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내수·수출 등 주요 부문에서 기업 체감경기가 다소 위축되며 경기 호조세가 둔화될 수 있는 양상"이라면서 "원자재 공급난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불확실성 해소를 위한 범정부차원의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