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탕 뛰기 인생’ 레미콘 기사들, “우리도 노동자”

URL복사


Untitled Document





 


‘탕 뛰기 인생’ 레미콘 기사들, “우리도 노동자”



레미콘 총파업 그 후 2년, 다시 시작되는 힘겨운 싸움











2001년 6월 여의도 국회앞 레미콘 건설 운송노조의 파업을 경찰이 강경진압 해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다.


2001년 4월10일
레미콘 총파업 이후 2년이 넘게 지났다. 그러나 그들의 처지는 하나도 달라진 게 없다. 여전히 법원에서는 ‘노동자가 아니다’고 한다. 회사
측이 어떤 부당노동행위를 자행하고 횡포를 부려도 노동자가 아니기 때문에 그저 당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레미콘 기사들의 싸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그들은 ‘노동자성 인정과 노동3권 보장’, ‘유가 보전’, ‘레미콘 운반 단가 현실화’ 등을 요구하며 다시 일어서고 있다.


연료비 5배 인상, 운반비는 그대로

‘탕뛰기 인생’. 레미콘 기사들의 또 다른 이름이다. 그들은 생존을 위해 한 탕이라도 더 뛰려고 새벽 이슬을 맞으며 레미콘 차량을 몰고
일터로 나간다. 그리고 별이 총총한 자정 녘에야 집으로 돌아온다.

“이러다가 쓰러져 죽을지도 모른다.” 어느 레미콘 기사는 몸이 견디지 못 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덜컥 겁이 났다고 고백했다.

정규직원이었던 레미콘 기사들은 1980년대 후반부터 회사의 강요에 의해 ‘지입차주’라는 특수고용직 노동자로 신분이 바뀌었다. 말로는 레미콘
차량을 가진 어엿한 ‘사장님’이 된 것이다.

사장님이 됐지만 사정은 더 안 좋아졌다. 다달이 강제 불하받은 레미콘 차량값을 물어나가야 하고, 기름값, 차량정비, 차량보험료 등을 내고
나면 남는 돈이 거의 없다. 회사에서 회전(레미콘을 현장에 한 번 운반하고 돌아오면 1회전으로 친다) 당 주는 운반비가 현실성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1965년부터 레미콘 차량을 운전하고 있다는 어느 늙은 기사는 “13년 전 160원이던 기름값은 800원대로 올랐는데, 회전 당 운반비는
하나도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처음 일을 시작했던 당시 “버스기사 월급이 3만원이었는데, 레미콘 기사들은 3만5,000원을 받았다”면서 그러나 “지금은 버스기사들은
200만원 가까이 받지만 지입차주가 되면서 80~90만원 벌기도 힘들다”고 한탄했다.


쥐꼬리만한 실수입

통장에 들어오는 돈만 보면 수입이 꽤 좋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속사정을 구체적으로 한 번 들여다보자.

건설경기가 좋다는 수도권의 경우 레미콘 기사들은 한 달에 120~130회전을 뛴다. 한 달에 28∼29일을 일하고 있는 현실. 하루 회전수는
4회전 정도가 되는 셈이다.

회전 당 운반비는 대략 3만5,000원. 월수입을 따지면 400만원 가량 된다. 하지만 이제부터 떼야 할 것이 있다.

우선 기름값으로 130~150만원, 그리고 차량 보험료로 20만원, 차량수리비로 30~40만원이 든다. 이것으로 끝이었으면 좋겠지만 차량할부금이
있다. 레미콘 차량에 대한 폐차기간은 정확히 규정된 바 없지만 기사들은 보통 10년에서 13년 정도 사용한다고 한다. 레미콘 차량의 가격은
새차가 7,000만원, 중고도 4,000~5,000만원을 호가한다. 그렇다면 월 50만원 정도가 차량에 대한 감가상각비로 빠지는 것이다.
그렇지만 차량을 폐차한 후에 다시 차를 사야 하기 때문에 새로 살 차를 위해 목돈도 만들어놔야 한다. 그렇게 또 50만원을 떼고 나면 남는
것은 실제로 100만원이 채 안 된다.

그것도 수도권이니 이 정도지, 지방의 경우는 사정이 더 안 좋다. 소화물량이 없다보니 차량 대금조차 제대로 갚지 못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회삿돈 아끼려고 지입차주제 고집”

회사에 소속된 경우는 지입차주들보다 그래도 조금 낫다. 2만3,000여 명의 레미콘 노동자 가운데 회사 소속 노동자는 4,000여 명.
이들은 차량에 대한 감가상각이나 연료비 등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그렇다고 해서 월등히 사정이 나은 것은 아니다. 금전적으로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다. 민주노총 산하 전국건설운송노조 박대규 위원장은 영덕의
한 레미콘 회사를 예로 들었다. “이 회사는 43만원의 기본급을 받고 한 탕(회전)을 뛸 때마다 2,500원씩, 1km 당 60원을 받고
있었다. 18시간씩 일하면서 한 달에 8,000km를 뛴 기사의 통장에 입금된 돈이 겨우 130만원이었다.”

6월초 건설운송노조의 도움으로 이 회사는 노사간 협상에 들어가 작은 성과를 이뤄냈다. 기본급이 80만원, 1회전 당 3,000원, 그리고
1km 당 80원으로 인상된 것. 한 달에 두 번 쉬던 것도 매주 일요일에는 쉴 수 있게 됐다.

지입차주들은 회사 소속 기사들과 똑같은 일을 한다. 차량에 회사 마크를 달고 회사의 지시대로 무조건 움직여야 한다. 너무 이른 시간이라거나,
혹은 너무 늦은 시간이라고 불평을 할 수도 없다. 너무 먼 곳이라서 기름값이 많이 든다고 불평할 수도 없다. 단지 다른 것은 차를 갖고
있느냐 없느냐인데, 이게 지입차주들의 목을 조르고 있다.

지입차주와 회사소속 기사들의 가장 큰 차이는 노동자인가 아닌가다. 지입차주들은 회사에 매어 있는 몸인데도 불구하고, 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인사업자가 돼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인정받지 못 하고 있다. 개인사업자이니 당연히 보너스와 퇴직금도 없고, 4대 보험도 적용되지 않는다.
회사로서는 엄청나게 남는 장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항변한다. 좋아서 떠맡은 차량도 아닌데 회사가 너무 하는 것 아니냐고. 박대규
위원장은 “회사가 차량 구입비, 복지후생비, 퇴직금 등을 아끼기 위해서 지입차주제를 고집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지난해에도 한·일 레미콘 노동자들이 일본기업 태평양의 부당노동행위에 대해 항의한 적이 있다.


한일 연대투쟁 계획

일단 노동부에서는 지입차주 레미콘 기사들의 성격이 회사에 매어 있는 노동자와 같다고 보고 노동자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법원에서는 이들을
노동자가 아니라고 한다. 그래서 이들은 회사가 계약을 해지해도 그냥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법원에 그게 부당하다고 아무리 항의해도 법원은
정식으로 고용계약을 맺은 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회사에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답변만 되풀이하고 있다.

6월15일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소속 레미콘 기사들은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노동자성 인정과 노동3권 보장’, ‘유가 보전’, ‘레미콘
운반 단가 현실화’ 등을 요구하며 집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레미콘 기사들은 “인간답게 한 번 살아보고 싶다”고 호소했다.

이들은 7월중으로 다시 한 번 양대 노총이 연대해 특수고용문제 해결을 위한 대대적인 결의대회를 가질 예정이다. 그리고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파업도 배제할 수 없음을 밝혔다.

한편, 건설운송노조는 한일 연대투쟁도 벌일 방침이다. 6월말, 소속 조합원 5명이 일본을 방문해 일본레미콘 노동조합원들과 한국대사관 앞에서
항의집회를 열 계획이다. 또 한국의 쌍용양회를 소유한 일본 기업 태평양에 대한 항의 방문도 계획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60년대까지만
해도 지입차주제를 실시하면서 사정이 한국과 다를 바 없었으나, 5년여에 걸친 싸움 끝에 노동자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태평양은 일본 내에서는
레미콘 노동자들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있으면서 한국에서는 지입차주제를 실시하고 있다.



김동옥 기자 aeiou@sisa-news.co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이재용 회장 장남, 미국 시민권 포기·해군 장교 입대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지호(25)씨가 오는 15일 해군 사관후보생으로 입대한다. 이재용 회장의 장남 지호씨가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해군 장교로 입대하면서, 이 회장의 두 자녀 행보가 다시 한번 눈길을 끈다. 지난 10일 업계에 따르면 장남 지호씨는 미국에서 고등학교에 다니다가 캐나다로 건너가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프랑스 파리 소재 대학에 입학했다. 최근 교환학생으로 미국 대학으로 옮겨 학업을 이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지호씨는 이번엔 해군 학사사관후보생으로 입대 의사를 밝히며 또 다시 주목받고 있다. 그는 오는 15일 139기 해군 학사사관후보생으로 입대한다. 경남 진해 해군사관학교에서 11주간 ▲제식 ▲전투기술 ▲기본소양 등 장교가 되기 위한 교육훈련을 거쳐 오는 12월 1일 해군 소위로 임관한다. 훈련 기간과 임관 후 의무복무 기간 36개월을 포함하면 군 생활 기간은 총 39개월이다. 지호씨의 해군 장교 입대가 특히 주목받는 이유는 그가 2000년 미국에서 출생한 선천적 복수국적자이기 때문이다. 부친 이 회장과 모친 임세령 대상그룹 부회장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한국 국적을 포기하면 병역을 면제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 또 장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 ‘마이 디어, 헬렌’ 공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부산 극단 ‘배우, 관객 그리고 공간(배·관·공)’이 배리어프리 연극 ‘마이 디어, 헬렌’을 무료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의 장애인 문화예술 향유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장애인 관객이 차별 없이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됐다. 공연은 9월 11일부터 21일까지 부산 북구 창조문화활력센터 소극장 624에서 열리며, 러닝타임은 약 55분이다. 전 연령 관람이 가능하다. ‘마이 디어, 헬렌’은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으로, 언어를 최소화하고 움직임과 몸짓을 중심으로 구성해 청각, 시각, 언어적 제약이 있는 관객도 불편 없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작품은 어린 시절부터 성숙한 사회운동가로서의 삶까지 세 장면으로 펼쳐지며, 장애인 배우가 직접 무대에 올라 비장애인 배우와 호흡을 맞춘다. 자막과 현장 음성 해설을 통해 장애인 관객의 접근성을 높이고, 비장애인 관객에게도 새로운 연극적 체험을 선사한다. 공연 후에는 관객과의 대화가 이어져 창작 과정과 배우들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예술의 사회적 의미를 더욱 깊게 나눈다. 이 작품은 2025년 7월 프랑스 아비뇽 오프 페스티벌 공식 초청작으로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