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

태풍 하이선 '초강력' 강도로 7일 부산 상륙..현재 위치는?[10호 태풍경로예상]

URL복사

 

 

태풍 하이선 ‘초강력’으로 발달해 우리나라로 북상

10호 태풍 하이선 경로 예상, 고수온 해역 지나며 ‘매우 강’

'매우 강'에서 '초강력' 수준으로 성장했다가 점점 약화

남해안 도착 전까지 경로나 강도 변동 가능성 있어

 

[시사뉴스 홍정원 기자] 태풍 하이선(10호 태풍 하이선, HAISHEN)이 초강력 태풍으로 발달해 오는 7일께 부산에 상륙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이 4일 오후 발표한 10호 태풍 하이선 경로(경로예상, 이동경로)에 따르면 태풍 하이선은 이날 오후 9시 기준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약 710㎞ 부근 해상(현재 위치)에서 시속 17㎞ 속도로 서북서 방향으로 북서진 중이다. 강도는 ‘매우 강’이며 최대풍속은 53m/s다.

 

기상청은 태풍 하이선이 오는 7일 오후 3시께 부산 북서쪽 약 70㎞ 부근 육상에 상륙할 것으로 예측했다.

 

태풍 하이선의 현재 강도는 ‘매우 강’이지만 한반도 상륙 시엔 '강'으로 약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최대풍속이 시속 144㎞로 예상돼 기상청은 “각별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오는 5일 오전 3시께 강도가 '초강력'으로 발달할 것으로 보이는 10호태풍 하이선은 일본 오키나와 동남동쪽 약 470㎞ 부근 해상을 거쳐 6일 오전 3시께 오키나와 동남동쪽 약 330㎞ 부근 해상에 위치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후 6일 오후 3시께 제주도 서귀포 남동쪽 약 650㎞ 부근 해상으로 북상할 태풍 하이선은 다시 '매우 강'으로 약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태풍 하이선은 7일 오후 3시께는 부산 북서쪽 약 70㎞ 부근 육상으로 도달할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8일 오후 3시께는 북한 청진 북서쪽 약 230㎞ 부근 육상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예보했다.

 

기상청은 “한반도에 올 때 고수온 해역을 지나기에 오는 과정에서 ‘매우 강’ 단계 이상으로 강도가 발달할 것으로 보인다”며 "6일 이후 태풍 하이선 발달이 조금 지연되면서 세력이 다소 떨어지겠지만 매우 강한 태풍과 강한 태풍 강도 사이에서 접근할 가능성이 있어 대비할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태풍 하이선이 남해안에 도착 전까진 다양한 변수가 존재한다. 태풍 하이선 동쪽에 있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과 수축, 발달 정도에 따라 강도나 도착 시기에 변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10호태풍 하이선 경로가 일본을 휘돌아오는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때 일본 열도를 거칠 경우에도 태풍 하이선 경로나 강도가 변할 수 있다. 이 경우엔 10호 태풍 하이선이 동해안 인근으로 예상 경로(이동경로)를 바꿀 가능성이 있다.

 

태풍 하이선 강도가 크기에 이때도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태풍 하이선 뜻은 바다의 신이며 중국에서 제출한 이름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지역, 국가, 세계, 지구 나아가 우주를 이해하는 힘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해냄에듀가 ‘세계를 읽는 지리의 힘’을 출간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국가, 세계, 지구 나아가 우주를 이해하는 힘은 지리에서 시작된다. 신간 ‘세계를 읽는 지리의 힘’은 세계가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학문인 지리학을 구성하는 개념과 사상을 간결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인문지리학과 자연지리학 영역을 모두 포함해 환경, 공간, 장소와 같은 핵심 주제를 다루며, 지리학의 연구 방법과 지리학사도 조명한다. 이를 통해 지리학이 왜, 그리고 어떻게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보여준다. 입문서지만 단순화되지 않은 이 책에서 저자는 학생들이 사전 지식 없이도 지리학의 역사와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짧고도 세련된 이 책은 ‘지리적 상상력’에 매료된 모든 독자들에게 흥미로운 읽을거리가 될 것이라 전한다. 이 책의 저자인 앨러스테어 보네트는 지리학과 교수이자 여행 작가다. ‘장소의 재발견’, ‘지도에 없는 마을’ 등을 통해 낯선 장소와 익숙한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냈던 그가 이 책에서는 지리학에 대해 말한다. 저자가 말하는 지리학은 단순히 지도를 외우거나 어느 지역에서 어떤 자원이 생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