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풍 마이삭 경로예상에 풍수해 위기경보 '주의'서 '경계'로 격상
[시사뉴스 홍정원 기자] 한반도로 접근한 9호 태풍 마이삭 경로 예상에 정부가 1일 오후 6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대응 수위를 1단계에서 2단계로 격상했다.
행정안전부(행안부)는 이날 오후 진영 장관 겸 중대본 본부장 주재로 관계부처와 17개 시·도가 참여하는 대책회의에서 이 같이 결정했다.
풍수해 위기경보도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했다.
이는 태풍 마이삭(제9호 태풍 마이삭 MAYSAK)이 이날 늦은 밤 제주도 먼바다를 시작으로 3일까지 전국적으로 영향을 줄 것이란 기상청 예보에 따른 것이다.
연중 바닷물 수위가 가장 높다는 백중사리(백중사리 뜻은 해수면 조차가 연중 최대로 높아지는 것) 기간과 맞물려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앞서 정부는 이날 오전 9시 풍수해 위기경보가 가장 낮은 '관심'에서 '주의'로 높이고 중대본 1단계를 가동했다.
중대본은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 대응과 복구, 수습을 총괄, 조정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기 위해 행안부에 두는 기구다. 대응 수위는 총 3단계가 있다.
위기경보 단계는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로 나뉜다. 전국적으로 대규모 피해가 발생했을 때 ‘심각’으로 격상한다.

진 행안부 장관은 이날 태풍 마이삭 대비·대책회의에서 해일에 의한 인명피해가 없도록 해안가 위험 지역의 통제와 주민 사전 대피를 당부했다.
강풍 피해가 우려되는 농·수산 시설과 대형크레인·간판 등 낙하물에 대한 조치를 하고 장마로 지반이 약해져 붕괴될 우려를 보이는 지역의 현장 예찰도 요청했다.
진 장관은 “이재민 임시주거시설과 인명피해 우려 지역 대피소 이용 시엔 코로나19 재확산 방지에 신경써달라”고 요구했다.
그는 "인명피해가 없도록 각 기관에선 9호 태풍 마이삭이 완전히 빠져나갈 때까지 비상한 각오로 임해달라"며 "국민들도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태풍 행동 요령을 숙지해달라"고 말했다.
앞서 태풍 마이삭 경로(이동경로)나 현재 위치에 영향을 주는 주변 바람이 약하기에 이동경로가 다소 유동적이라는 분석도 있었다. 9호 태풍 마이삭 뜻은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나무 이름이다.
태풍 마이삭은 지난 2015년 4월에도 있었다. 당시에는 제4호 태풍 마이삭이었으며 ‘슈퍼 태풍’으로 불렸다. 필리핀 북동부 해안으로 접근해 이 지역에 주민대피령까지 내려졌다. 4호 태풍 마이삭은 슈퍼 태풍으로 위력을 발휘했던 미크로네시아에서는 추크주(州)에 상륙해 북부 야프주를 빠져나가면서 사망자가 발생하고 주택 수백 채가 무너지는 등 큰 피해를 입혔다.